LCK의 서머 첫 주 차는 13.10 패치로 진행될 예정이다. LCK는 23일 1라운드 일정과 함께 주차 별 진행 예정 패치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첫 주차인 7일부터 11일까지는 13.10 패치로 경기가 진행되며, 그 이후로는 2주마다 한 번씩 패치 버전이 변경되게 된다. 13.10 패치는 지난 17일 라이브 서버에 적용된 패치로, 대격변을 예고하는 많은 변경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원거리 딜러의 아이템이 대거 변경되었으며, 그 외에도 소환사 주문인 순간이동이나 미드 라인의 미니언 도착 속도 변경 등 프로 경기에서 큰 영향을 끼칠 만한 조정도 다수 포함되었다. 또한 MSI 기간 중 사용할 수 없었던 밀리오와 유미 역시 밴에서 풀려
2023-05-23
RNG가 오랜 시간 팀과 함께 해온 바텀 듀오 '갈라' 천웨이, '밍' 시썬밍과 결별했다. RNG는 23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갈라', '밍'과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다. RNG는 "선수와 구단 간의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소통 끝에 선수의 의사를 전적으로 존중해 '갈라', '밍'이 공식적으로 팀을 떠나 자유계약선수 신분을 회복하게 됐다"는 말과 함께 그동안의 헌신에 감사한다는 인사를 전하며 '갈라' 그리고 '밍'과의 계약 종료를 알렸다. '갈라'는 특유의 캐리력으로 '갈라쇼'라는 별병으로 불리우며 LCK 팬들에게도 익숙한 얼굴이다. 특히, RNG가 2021년과 2022년 2년 연속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우승을 차지함에 있어 큰 역할을 한 바 있다.
징동 게이밍 '룰러' 박재혁과 '카나비' 서진혁이 오는 9월 중국 항저우에서 열릴 예정인 제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룰러'와 '카나비' 에이전시인 슈퍼전트는 “이번 MSI에 우승한 JDG의 '카나비' 선수와 '룰러' 선수의 우승을 보며 만감이 교차했다"며 "우리는 선수들이 경기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선수들은 최고의 결과로 보답해줬다”라며 두 선수가 국가대표가 나온다면 큰 영광일 것 같다"고 전했다.슈퍼전트 관계자는 ”현재 '카나비' 선수와 룰러 선수가 아시안게임 예비 명단에 포함되어 있는데, 개인적인 식사자리에서 얘기했을 때 두 선수 모두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다. 아
디알엑스의 챌린저스 팀에서 탑 라이너를 맡고 있던 '클리어' 송현민이 팀을 떠난다. 디알엑스는 22일 공식 SNS 채널에서 송현민과의 계약이 상호 합의 하에 종료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2020년부터 팀에 몸을 담았던 송현민은 이제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된다. 송현민은 디알엑스 루키즈와 챌린저스 팀에서만 활동을 이어왔다. 송현민은 디알엑스 챌린저스 소속으로 지난 2022년과 2023년 스프링 시즌에서 올 씨엘팀(챌린저스 리그 올프로팀)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프로 생활 동안 그웬과 나르를 가장 많이 플레이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지녔다. 한편 디알엑스 챌린저스 팀은 지난 스프링 시즌 마지막까지 치열한 순위 다툼을
"젠지e스포츠와 높은 곳에서 만나고 싶었는데 탈락해서 마음이 싱숭생숭했다."징동 게이밍(JDG)은 21일(한국 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빌리빌리 게이밍(BLG)을 3대1로 제압했다. 징동이 국제 대회서 우승을 차지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팀의 에이스로 자리 잡은 박재혁은 '데프트' 김혁규(디플러스 기아)에 이어 두 번째로 LoL 월드 챔피언십, LCK, LPL에 이어 MSI까지 우승을 차지한 선수가 됐다.박재혁은 경기 후 인터뷰서 "첫 MSI 진출인데 우승까지 하게 돼서 너무 기쁘다. 진짜 오랜만에 하는 국제 대회 우승인데 저한테 값지고 정말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우승을 확정
롤 팬이라면 익숙한 'TSM!'을 연호하는 목소리를 적어도 북미 지역에선 더 이상 들을 수 없을 예정이다. TSM은 지난 20일 공식 SNS 채널에서 LCS, 즉 북미 리그를 떠날 예정임을 밝혔다. 향후 TSM은 LPL이나 LEC 등 새로운 리그 합류를 계획 중이며 LCS의 슬롯은 매각한다. 북미에서 TSM이 가지는 위상을 고려할 때 놀라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TSM은 LCS에서 2013년부터 활동해온 유서 깊은 팀으로, 총 7회의 LCS 우승을 기록했다. 이는 LCS 팀 중 최다 기록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CS 무대를 떠나는 이유에 대해 팀 소유주인 '레지날드' 앤디 딘은 "월즈 챔피언 쉽(롤드컵)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몇 년 간 북미
2023년 한국에서 열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할 한국 대표 팀을 선발하는 무대인 2023 LCK 서머 스플릿이 오는 6월 7일(수) 막을 올린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의 한국 프로 리그를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대표 오상헌, 이하 'LCK')는 2023 LCK 서머 스플릿 정규 리그가 6월 7일(수) KT 롤스터와 한화생명e스포츠의 대결로 막을 올린다고 밝혔다. 지난 4월 9일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스프링 최종 결승전을 끝으로 휴식기에 들어갔던 LCK는 여름 패왕을 가리는 서머 스플릿으로 돌아온다. 서머 스플릿의 정규 리그는 오는 6월 7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에 위치한 LCK 아레나에서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 2023 퍼시픽 플레이오프▶젠지 0 대 2 T11세트 젠지 10 <프랙처> 13 T12세트 젠지 10 <어센트> 13 T1T1이 됴코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T1이 22일 서울 마포구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에서 진행된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2023 퍼시픽 플레이오프에서 젠지 e스포츠를 2대0으로 꺾었다. 마지막 남은 마스터스 진출권이 걸렸던 경기인 만큼 치열한 경기였다. 그 속에서 교전 집중력을 발휘한 T1이 웃었다. 1, 2세트 모두 13대10으로 젠지를 따돌린 T1은 6월 열린 마스터스 진출권을 손에 넣었고, 27일 VCT 퍼시픽 결승을 놓고 DRX와 격돌한다. 1세트 초반부터 두 팀은 치열하게 맞붙었다. 적극적인 교전
2023-05-22
징동 게이밍(JDG)의 우승으로 끝난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2023이 최고 시청자 수를 갱신했다. e스포츠 시청자 수를 집계하는 e스포츠 차트에 따르면 이번 MSI 2023의 T1 대 JDG 전은 229만 여명의 최고 시청자 수를 기록해 MSI 사상 최고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중국 시청자를 제외하고 집계한 수치다. 기존의 최고 기록은 MSI 2022에서 진행된 T1 대 로열 네버 기브 업(RNG)의 219 만명이었다. 그 외에도 지난 20일 진행된 T1과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경기 역시 218만 명의 수치를 기록해 시청자 수 방면 MSI 역대 3위에 랭크됐다.최고 시청자 수만 증가한 것은 아니다. 평균 시청자 역시 작년의 58만 명에서 올해 79만 명으
T1이 챌린저스 미드 라이너를 맡고 있던 '베이' 박준병, '미노스' 강민우와의 결별을 발표했다. T1은 22일 공식 SNS 채널로 두 선수가 팀을 떠나게 됐다고 밝혔다. 두 선수는 모두 지난해 12월 말 합류해 챌린저스 팀에서 활동해왔다. 박준병은 지난 2021년 농심 레드포스의 주전 미드라이너로 LCK 무대에서 활약하면서 이름을 알린 바 있다. 첫 시즌 이후 팀 내에서 2군으로 내려간 박준병은 지난 2022년에는 PSG 탈론으로 이적해 국제 무대인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을 밟기도 했다. 한편 강민우는 T1 루키즈 출신으로 지난 스프링 시즌 '바우트' 한진솔과 주전 경쟁을 펼쳤다. 두 선수가 속했던 T1의 챌린저스 팀은 지난 스프링 시즌에서 정규
징동 게이밍의 '옴므' 윤성영 감독이 밴픽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JDG가 21일(한국 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빌리빌리 게이밍(BLG)을 3대1로 꺾었다. 한 세트를 내주기는 했지만, 압도적인 경기였다. 승리를 가져간 세 번의 세트 모두 20분 초반대에 끝낸 JDG는 '슈퍼팀'의 힘을 제대로 과시하며 LPL에 다시 한번 MSI 우승을 안겼다. 대회 포맷 변경으로 LCK, LPL, LEC, LCS 등 메이저 지역은 이번 MSI에 두 팀씩을 출전시켰다. 그런 만큼 지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우승을 차지했던 LCK의 성적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았다. 그러나 LCK를 대표해 출전한 젠지 e스포츠와 T1 모두
"이제 패배에 대한 불행은 잊을 때다." BLG는 21일(한국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 징동 게이밍(JDG)과의 경기서 1대3으로 패했다. 플레이-인부터 시작한 BLG는 LCK 팀을 꺾고 결승까지 올랐지만 LPL 스프링 결승전서 대결한 징동을 넘지 못했다. '타베' 웡박칸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서 "오늘 경기서 패배해 기분이 좋지 않다. 결승전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제이스 대결이었는데 충분하지 못했다. 경기서 패하기 전까지 제이스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거 같다"며 "오늘 경기를 포함해 몇 번 징동과 경기했을 때 밴픽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준 거 같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타베'
"징크스가 후반가면 아펠(리오스)보다 쎕니다". 우승 직후 '룰러' 박재혁의 입에서 나온 '티어 정리'다. LCK 1시드와 2시드인 젠지와 T1은 패배 후 인터뷰에서 모두 티어 정리에 대해 언급했다. 그리고 그 티어정리를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 바로 박재혁의 인터뷰의 한 줄이다. 데이터를 살펴보면 징크스와 아펠리오스의 차이는 더욱 확실해진다. 총 3번의 LCK 팀과 LPL 팀 간 대전(T1 대 JDG, 젠지 대 BLG, T1 대 BLG)에서 LCK는 단 한 번도 아펠리오스로 징크스를 이기지 못했다. 아펠리오스 대 징크스 구도는 총 6번 등장했고, 징크스가 유일하게 패배했던 경기는 '구마유시' 이민형이 징크스를 잡고 패했던 T1과 JDG의 4세트 경기였다. LCK
징동 게이밍의 '룰러' 박재혁이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선발에 대해 입을 열었다. JDG가 21일(한국 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빌리빌리 게이밍(BLG)를 3대1로 꺾었다. 올해 BLG를 상대로 단 한 번도 패한 적 없던 JDG는 MSI 결승에서도 그 흐름을 이어갔고 국제대회 정상에 서며 '슈퍼팀'이라는 평가가 옳았음을 증명했다. 박재혁은 이번 대회 내내 JDG의 화력을 담당하며 맹활약했고, 결승전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다. 이미 LPL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 바 있는 박재혁은 국제무대 경쟁력 역시 다시 한번 증명하면서 하반기에 열릴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에 대한 기대감을 증폭시
MSI 여정을 준우승으로 마무리한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선수단이 대회를 마친 소감을 전했다. BLG는 21일(한국 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에서 징동 게이밍(JDG)에게 1대3으로 패했다. 국제대회 첫 LPL 결승 내전이었기에 관심을 많이 받았던 경기였다. BLG는 한 세트를 따내면서 분전했지만, 천적 관계였던 JDG를 이번에도 넘지 못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경기 후 인터뷰에 나선 '타베' 웡박칸 감독은 "이번 대회에서 오늘 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가 너무 좋았다"며 "우승이 너무 간절했는데, 오늘 경기에서 패배해 기분이 별로 좋지 않다"고 진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서
21일(한국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 징동 게이밍(JDG)과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경기서 징동이 3대1로 승리하며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룰러' 박재혁이 공식 인터뷰를 하고 있다.
21일(한국시각)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결승전 징동 게이밍(JDG)과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경기서 징동이 3대1로 승리하며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옴므' 윤성영 감독이 공식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원더페스티벌 2025 코리아 성황리 개최
'페이커' 세팅
1
'구마유시' 이민형, "T1 원래 강한 팀...2위도 가능할 것"
2
[피플] 서든 챔피언십 중계진이 본 2025 시즌1 "성장 가능성 증명"
3
[LPL 돋보기] IG 떠난 '지에지에', 행선지는 BLG?
4
한화생명-T1, LCK 레전드 그룹 2위 경쟁 시작
5
[FSL] 'KBG' 김병권, '줍줍' 완파하고 댄스로 자축
6
LCK 해설진 주목한 5주차 경기 '브리온 vs BNK'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