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핀포인트] 공성전차가 외면 받는 이유는?

[핀포인트] 공성전차가 외면 받는 이유는?
◇스타2 공성전차의 모습입니다.

안녕하세요. 데일리e스포츠 이소라 기자입니다.

지난 주에는 스타크래프트2:자유의날개(이하 스타2)에서 비운의 유닛으로 평가 받고 있는 공성전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스타크래프트:브루드워(이하 스타1)에서는 무적이라 평가받으며 승승장구했던 공성전차가 스타2에서는 스타1만큼의 포스를 뿜어내지 못하고 있는데요. 그 때문일까요? 스타1에서 최강 종족이라 불리던 테란이 스타2에서는 최약체 종족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습니다.

공성전차의 위상이 약해진 것이 테란에게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선수들 역시 공감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예전에는 입구를 막고 탱크 세 기만 배치해도 수비가 가능했던 테란이었지만 요즘은 공성전차만으로 수비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데다 스타2 특성상 유닛을 조합해야만 전투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성전차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테란 선수들은 스타1 시절 탱크만 생산해 한꺼번에 시즈모드하던 그 소리를 잊을 수가 없다고 하네요. 소리만으로도 상대에게 위압감을 주던 탱크의 위용은 정말이지 엄청났죠. 테란 선수들은 공성전차의 위용만 다시 예전으로 돌린다면 테란이 충분히 할만해 질 것이라며 은근히 공성전차의 기능들이 업그레이드를 바라는 눈치였습니다.

그렇다고 공성전차가 약한 유닛이라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스타1에서 워낙 강력한 포스를 뿜어냈던 유닛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아쉬움을 토로하는 것이지 무조건 약한 유닛으로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스타2에서 공성전차는 어떻게 쓰이는지 그리고 스타1과 같은 포스를 뿜어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성전차가 약해진 것은 바이오닉 때문이다?

인생을 사는 동안 항상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하나를 선택하면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매 번 생기게 마련이죠. 사람들은 기회비용을 생각한 뒤 어떤 것을 선택해야 더 효율적인지 판단하고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공성전차가 스타1 시드모드 탱크에 비해 찬밥 신세로 전락한 이유는 효율성 때문입니다. 스타1에서는 다른 유닛과 비교했을 때 탱크 효율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다른 유닛보다는 탱크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죠.

그러나 스타2에서 공성전차는 가격 대비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공성전차보다 바이오닉 효율이 더 좋기 때문에 굳이 비싸고 인구수를 많이 차지하는 공성전차를 생산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죠. 훨씬 가격이 싸면서도 상대 유닛을 상대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닛이 있다면 그것을 선택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스타2에서 테란 선수들은 공성전차보다 바이오닉 병력을 선호합니다.

[핀포인트] 공성전차가 외면 받는 이유는?

◇테란이 프로토스의 공격을 바이오닉 병력으로 막아내는 모습. 수비를 위해 굳이 공성전차를 생산하지 않는다.

스타1에서는 바이오닉과 탱크 중 상대 유닛을 더 잘 제거할 수 있는 유닛은 두말할 것도 없이 탱크입니다. 그러나 스타2에서는 공성전차 한 기를 생산하는 것보다 불곰 등 바이오닉 병력을 조합하는 것이 더 효율성이 좋습니다. 그렇다 보니 공성전차 보다는 바이오닉 병력을 선호하고 자연스럽게 공성전차는 찬밥 신세로 전락했습니다.

공성전차가 약해진 것도 분명 이유겠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바이오닉 병력이 강력해 진 것이 테란이 공성전차를 자주 생산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라고 선수들은 입을 모읍니다. 효율성의 문제로 선수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공성전차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것이 테란 선수들이 가장 바라는 점일 수도 있겠네요.

◆기동력이 중요해진 스타2

바이오닉 병력의 효율이 좋아진 것도 문제지만 스타2 경기 양상이 스타1과 크게 달라진 점도 공성전차가 자주 사용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힙니다. 스타1의 경우 교전을 펼치기 전에 자리싸움을 하거나 전선을 형성하는 과정에 시즈모드 탱크가 자주 사용됐습니다. 어떤 종족전이든 테란이 한 번 자리를 잡고 시드모드 탱크로 전선에 수비 라인을 형성하면 다른 종족들이 쉽사리 들어가지 못했죠. 테란은 자리르 잡아 놓은 상태에서 추가 생산된 병력을 전진시키면서 서서히 목을 조여가는 재미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스타2의 경우 전선을 형성하거나 수비만 하면서 버티는 경기 양상보다는 기동성을 활용하는 양상이 자주 펼쳐집니다. 스타1보다 평균 경기 시간이 짧은 것을 근거로 들 수 있겠네요. 즉 수비나 대치전보다는 인구수 200을 채운 뒤 한 번의 공격을 펼쳐 승부를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타1과 달리 유닛의 기동성이 좋기에 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요. 그러다 보니 이동 속도나 생산 타이밍이 느린 공성전차보다 바이오닉 병력이 전략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게다가 테란이 확장기지를 확보한 이후에는 수비를 위해 공성전차를 배치하기 보다는 사령부를 행성요새로 업그레이드하는 편이 수월합니다. 인구수가 들지 않고 건설로봇이 달라 붙으면 수리도 용이하기 때문인데요. 기동성이 좋은 바이오닉 병력이 곧바로 백업하러 오는 것이 여러 모로 유리합니다. 굳이 공성전차를 확장 방어용으로 생산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종족간 유닛 상성에 있어서도 공성전차는 불리한 측면이 많습니다. 공성전차가 상성에서 우위를 점하는 유닛이 저그의 히드라리스크, 프로토스의 추적자인데요. 저그는 테란을 상대할 때 히드라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프로토스의 경우 추적자의 점멸 기능 때문에 얼마든지 공성전차의 포격을 따돌릴 수 있습니다. 들여다 보면 볼수록 공성전차가 할 수 있는 일이 이렇게 없는지 안타까운 마음까지 드네요.

물론 공성전차를 다수 생산하는 플레이를 선호하는 선수들도 간혹 있습니다. 그러나 승률이 워낙 좋지 않아 대부분 선수들은 가끔 전략적인 플레이를 위해 공성전차를 생산하거나 3~4기 정도 생산해 화력을 뒷받침 해주는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그래도 가끔 위풍당당했던 스타1 시즈모드 탱크가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군단의 심장에서는 공성전차를 주력으로 활용하는 테란의 메카닉 운용도 자주 볼 수 있게 되기를 바라봅니다.

[데일리e스포츠 이소라 기자 sora@dailyesports.com]

*SK텔레콤과 함께하는 e스포츠 세상(www.sktelecom.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데일리랭킹

1젠지 17승 1패 +29(34-5)
2T1 15승 3패 +24(32-8)
3한화생명 15승 3패 +19(30-11)
4KT 11승 7패 +8(26-18)
5DK 9승 9패 0(21-21)
6광동 7승 11패 -7(18-25)
7피어엑스 6승 12패 -11(16-27)
8농심 4승 14패 -16(14-30)
9디알엑스 3승 15패 -21(11-32)
10브리온 3승 15패 -25(8-33)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