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내대회에서 2번의 우승을 달성한 디플러스 기아 펍지 모바일팀이 최고 권위 대회인 펍지 모바일 글로벌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에 출전한다.디플러스 기아는 14일(한국 시각)부터 17일까지 4일 동안 진행될 2024 PMGC 리그 그룹 스테이지에 출전한다. 이번 2024 PMGC는 10월 31일부터 11월 24일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그룹 스테이지, 서바이벌 스테이지, 라스트 찬스로 구성된 리그를 진행하고, 12월 6일부터 8일까지 영국 런더에서의 그랜드 파이널로 막을 내린다.그룹 스테이지의 경우 옐로우 조(Group Yellow)와 레드 조(Group Red), 그린 조(Group Green) 3개 조에 16팀씩 편성돼 조별로 총 24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2024-11-14
한국e스포츠협회(이하 협회)가 한국외국대학교(이하 한국외대)와 상호 우호적 협력과 미래지향적 발전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12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e스포츠협회 김영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정운 총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양 기관은 상호간의 인적 네트워크와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협력 프로그램을 공동개발 및 실행할 계획이다. 또한 각종 국내·외 e스포츠 행사에 대한 상호 후원 및 홍보, 대학(원)생을 대상의 현장교육 및 실습, 취업 알선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업무 협약 단체에는 등록금 감면 혜택도 제공된다.
'커즈' 문우찬은 지난 2017년 킹존 드래곤X(現 DRX) 소속으로 혜성같이 등장했다. 이후 T1과 kt 롤스터 등을 거치면서 리그를 대표하는 정글러로 자리 잡았다. 어느새 데뷔 8년차를 맞은 문우찬은 2024 시즌을 시작하기 직전 광동 프릭스로 이적하면서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그리고 그는 광동의 든든한 맏형이자 주장으로 팀의 에이스 역할을 하며 스프링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다.다만 아쉬움도 있었다. 서머 시즌의 경우 1라운드서 5승 4패의 성적을 기록하며 4위에 올랐지만, 이후 2라운드에서 부진,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기 때문. 그러면서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선발전에도 나서지 못하면서 2024년 시즌을 무더웠던 8월 중
올해 많은 화제 속에 T1 e스포츠 아카데미에 합류했던 '레클레스' 마틴 라르손이 팀을 떠났다. T1은 13일(한국시각) SNS에 T1 e스포츠 아카데미서 활동하던 '레클레스' 마틴 라르손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데뷔한 '레클레스'는 프나틱으로 이적했으나 연령 제한에 걸려서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2013년부터 공식전에 나선 '레클레스'는 2015년 '후니' 허승훈(현 LCK 해설), '레인오버' 김의진(현 팀 리퀴드 코치)과 함께 팀을 유럽 LEC 스프링 정규시즌 전승(18전 전승)으로 이끌었다. 이어 결승전서 오리젠을 3대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020년까지 프나틱 원클럽맨으로 활동한 '레클레스'는 2021시즌을 앞두
SK텔레콤 T1(현 T1)서 전성기를 함께했던 '벵기' 배성웅과 '푸만두' 이정현이 다시 뭉쳤다. T1이 아닌 디플러스 기아서 2025시즌을 함께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이 끝난 뒤 '제파' 이재민 감독, '쏭' 김상수, '버블링' 박준형 코치와 결별했던 디플러스 기아는 신임 사령탑에 '벵기' 배성웅을, 코치는 '푸만두' 이정현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을 끝으로 팀을 떠났던 배성웅 감독은 1년 반 만의 복귀. 센고쿠 게이밍, 비시 게이밍(현 레어 아톰), 담원 기아(현 디플러스 기아)서 코치 생활을 했던 이정현 코치는 3년 만에 팀으로 돌아왔다. 배성웅 감독과 이정현 코치는 2018년 9월 이
2024-11-13
지난 8월 끝난 e스포츠 월드컵의 대미를 장식한 건 뉴 글로벌 스포츠 컨퍼런스(NGSC)였다. '팬덤의 미래(The Future of Fandom)'라는 주제 하에 진행됐던 NGSC서는 국제e스포츠연맹 회장이자 e스포츠 월드컵 의장인 파이잘 빈 반다르 빈 술탄 알시우드를 비롯, e스포츠 기업 히어로 e스포츠(구 VSPO) 대니 탕 CEO,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하라다 카즈히로 프로듀서, 팀 리퀴드 공동 CEO인 스티브 아르한셋, 프나틱 CEO이자 창립자 샘 매튜스 등이 참가해 각자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다. 팀 리퀴드 CEO 아르한셋의 경우 팀 운영과 e스포츠에 대한 생각을 진솔하게 말해 호평을 받았다는 후문이다.글로벌 e스포츠에 발맞춰 한국e스포츠협회(이하
'키아야' 쩐두이상이 소속팀 GAM e스포츠와 재계약을 체결했다. GAM은 13일 SNS을 통해 '키아야'와의 재계약 소식을 전했다. GAM은 "'키아야'와 같은 든든한 기둥같은 선수를 통해 다가오는 LCP와 다가오는 국제 대회서 팀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거로 믿는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2016년 e퍼브 유나이티드서 데뷔한 '키아야'는 얼티밋을 거쳐 2018년 GAM e스포츠의 전신인 기가바이트 마린즈에 합류했다. 이후 현재까지 팀의 주축으로 활동 중이다. '키아야'는 베트남 리그 VCS서는 9회 우승을 차지했다. 최근 독일 베를린서 열린 롤드컵서는 플레이-인을 뚫었지만 스위스 스테이지서는 1승 3패에 그치며 녹아웃 스테이지에는 올
트위스티드 마인즈의 펍지 글로벌 시리즈(PGS) 3연패를 이끈 '이그잼플' 아르툠 아다킨이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GC) 2024를 통해 역대 최고 선수의 자격을 증명할 수 있을까.숨 가쁘게 달려온 2024년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가 이제 최고 권위 대회인 PGC만을 남겨두고 있다. 대망의 PGC 2024에서 우승하는 팀은 2024년 최고의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팀으로 우뚝 서게 된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PGS 최초로 3연패에 성공한 트위스티드 마인즈다. 그리고 그 안에서 가장 주목 받는 선수는 '이그잼플'이다.전인미답의 PGS 3연패를 이루는 과정에서 트위스티드 마인즈의 모든 선수가 빛났지만, '이그잼플'의 역할이 컸다. 트위스티드 마인즈는 지난해
서울특별시 e스포츠협회(이하 서울e스포츠협회)가 학교e스포츠 활성화와 e스포츠 아마추어 체육 저변 확대를 위해 총상금 700만 원 상당의 청소년 e스포츠 체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서울e스포츠협회가 주최하고, 서울e스포츠협회, 은평메디텍고등학교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는 서울특별시 청소년 e스포츠 체전은 정식 종목인 '리그 오브 레전드'와 'FC 온라인' 그리고 시범 종목인 '발로란트' 세 종목으로 진행된다. 오는 30일(토)에는 '발로란트', 'FC 온라인' 예선전이 열리고, 이튿날인 12월 1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예선전이 진행된다. 그리고 12월 8일(일) 서울 강남구 옵티멈존 PC카페 신논현점에서 본선이 치러진다.특히, 이번 대회는
kt 롤스터 출신인 '빅라' 이대광이 활동한 레어아톰은 2021년 창단됐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 뿐만 아니라 카운터 스트라이커2, 발로란트 등 종합 게임단으로 활동 중이다. 그렇지만 LPL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비시 게이밍의 시드권을 인수해 2021년 스프링부터 참가한 레어아톰은 매 시즌 하위권에 머물렀다. 지난 LPL 서머서는 플레이오프 플레이-인에 올랐으나 닌자 인 파자마스(NIP)에 0대3으로 패해 탈락했다. 이런 레어아톰이 2024시즌을 끝으로 LoL 게임단을 해체한다는 이야기가 중국 쪽 관계자들 사이서 들리고 있다. 한 관계자는 기자에게 "거의 확정이며 내년 1월 전에는 발표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레어아톰의
2024-11-12
유난히도 뜨거웠던 지난여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의 순위 경쟁 역시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그리고 광동 프릭스는 그 순위 경쟁 끝에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광동은 지난해 서머 스플릿 당시 1라운드까지 중위권에 자리 잡았으나, 이후 2라운드에서 무너진 바 있다. 이번 여름 역시 1라운드의 좋은 흐름을 2라운드까지 이어가지 못하면서 2년 연속 비슷한 아픔을 맛봤다.하지만 좌절만 있던 1년은 아니었다. 스프링 시즌에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2023년부터 광동에서 뛴 '두두' 이동주는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을 2년 만에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이렇듯 기쁨과 좌절이 공존했던 2024년. 이동주는
중국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이 끝난 뒤 비시즌 동안 이벤트 전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중계진이 참여하는 대회가 있었고 은퇴 선수와 현역 선수가 팀을 만들어서 리그를 진행하는 레전드컵(传奇杯)도 열렸다. 중국 스트리밍 사이트인 후야닷컴이 개최하는 레전드컵이 이번 롤드컵이 끝난 뒤 두 번째 시즌을 맞았다. 이번 레전드컵서 눈에 띄는 대목은 은퇴한 한국 선수들도 참가한다는 것이다. 레전드컵은 최근 시즌2를 맞아 중국 상하이서 선수 영입에 대한 드래프트를 진행했다. 이번 레전드컵서는 12명의 은퇴, 현역 선수가 팀장으로 참가했다. 그중에는 '도인비' 김태상과 '우지' 젠쯔하오, 2018년 인빅터스 게이밍(IG)을
올해 LCK 서머서 8위에 그친 농심 레드포스가 리빌딩 단추를 눌렀다. 코치진과 함께 서포터 '피터' 정윤수와 LCKCL서 뛰던 탑 라이너 '에디' 성민규와 결별했다. 농심은 12일 SNS를 통해 '피터' 정윤수, '에디' 성민규와 함께 '코코' 신진영, '노블레스' 채도준 코치와의 결별을 발표했다. 농심은 '첼리' 박승진 감독만 남기고 코칭스태프를 떠나보냈다. 선수서는 '실비' 이승복과 '피셔' 이정태, '지우' 정지우만이 남았다. LCKCL서 선수 전원을 콜업했던 농심은 LCK 스프링서 4승 14패로 8위에 그쳤고, 서머서는 5승 13패로 같은 순위인 8위를 기록했다.앞서 농심은 탑 라이너 '든든' 박근우와 '미하일' 백상휘, '콜미' 오지훈, 서포터 '구거'
디플러스 기아가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후반부와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을 함께 한 서포터 '모함' 정재훈과의 계약 종료 소식을 알렸다.디플러스 기아는 11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정재훈과의 결별을 공식 발표했다. 디플러스 기아는 "정재훈과의 동행을 마무리한다"며 "열정으로 가득 채운 시간을 잊지 않겠다. 팀을 위한 헌신에 감사하며, 앞으로의 날들에 행복이 가득하길 바라겠다"는 말로 정재훈에게 인사를 전했다.지난 2022년 광동 프릭스 챌린저스 소속으로 프로 무대에 데뷔했던 그는 같은 해 서머 시즌을 앞두고 1군으로 콜업됐다. 1군에서 '호잇' 류호성과 주전 경쟁을 펼친 정재훈은 이듬해에도 광동에 남
펍지 글로벌 시리즈(PGS) 6를 4위의 호성적으로 마친 젠지e스포츠가 12월에 열릴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GC) 각오를 다졌다.젠지가 10일(한국 시각) 태국 방콕 TVT 그린 파크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펍지 글로벌 시리즈(PGS) 6 파이널 스테이지 3일 차에서 121점을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68점 8위로 마지막 날을 시작했던 젠지는 반등한 경기력을 보여줬고 하나의 치킨까지 뜯으면서 한국팀 중에서 유일하게 대회를 상위권에서 마무리할 수 있었다.경기 후 인터뷰에 나선 '렉스' 김해찬은 "PGS 5보다 더 높은 점수와 순위를 올린 데 대해 만족한다"면서도 "부족한 부분이 선명하게 드러난 점은 아쉽다"고 소감을 전했다. 오더를 맡은 '토시' 성윤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은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국제 대회 '펍지 글로벌 시리즈(이하 PGS) 6가 트위스티드 마인즈의 우승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트위스티드 마인즈는 PGS 4부터 6까지 3연속 우승을 차지했다.PGS 6는 전 세계 정상급 24개 팀이 출전한 가운데 태국 방콕에 위치한 TVT 그린 파크 스튜디오에서 진행됐다. 4일부터 6일까지 치러진 그룹 스테이지를 통해 16개 팀이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했고, 8일부터 10일까지 파이널 스테이지 총 18매치가 열렸다.대회 결과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의 트위스티드 마인즈가 총 171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올해 6월 PGS 4에서 팀 창단 후 처음으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한 데 이어,
2024-11-11
케스파 컵이 3년 만에 부활한다.한국e스포츠협회는 오는 30일 국내 리그 오브 레전드 컵대회인 케스파 컵이 개막한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케스파컵은 프로암 대회에서 국가대표 선발 지표 검토대회로 변모하며, e스포츠 국가대표 선발 시 대회 데이터가 공정한 선수선발에 힘을 싣는다.케스파 컵은 LoL 1군 리그인 LCK 10개 팀과 베트남 올스타,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스타 팀 합류 등 총 12팀이 참가한다. 이에 국내 선수들의 내년 정규리그 개막 전 전력을 미리 시험해 보는 동시에, 해외 팀들과 경기를 치르며 국제대회 경기감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대회 방식도 토너먼트 방식에서 조별 풀리그-스위스인터 스테이지 방식으로 변경된다. 먼
14일 만에 '구마유시' 만난 '케리아'
블루 아카이브, 팝업 스토어 오픈 "마스터 시바의 라멘 맛 볼래?"
1
롤드컵 시즌1 우승자 '슈세이', 암 투병 끝 별세
2
[기획] 인공호흡기 장착 성공 스타2 리그의 미래는?
3
LCK, 프차 도입 이후 첫 외국인 선수 등장
4
[인터뷰] 메타 92점 역대급 턴제 RPG '33 원정대'가 탄생하기까지
5
최초 외국인 선수 '레이지필' 데뷔...DRX, 7연패 탈출
6
[체험기] 넥슨 신작 '아크 레이더스', 생존과 약탈이 교차하는 신세계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