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 최초로 서포터 POG(Player Of the Game) 1위가 된 '케리아' 류민석이 소감을 밝혔다. T1은 16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3 LCK 스프링 9주차 디플러스 기아와의 경기에서 세트 스코어 2 대 0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류민석은 이 날 1세트에서 쓰레쉬로 맹활약하며 POG(Player of the Game)에 선정, 서포터 최초로 POG 1위를 확정지었다.승리 후 방송 인터뷰에 나선 류민석은 POG 1위를 확정한 소감을 묻자 "서포터 최초로 POG 1위를 받을 수 있어서 기쁘다"면서 "팀 원들이 있어서 받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1세트 종료 후 POG를 무조건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덧붙였다. 경기 내용에 대
2023-03-16
디플러스 기아가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3 LCK 스프링 스플릿 9주 차 T1과의 경기서 0대2로 패했다. 시즌 5패(12승)째를 기록한 디플러스 기아는 젠지e스포츠를 상대로 최종전을 치른다.▶디플러스 기아 최천주 감독두 세트 모두 초반에 사고가 나면서 수세에 몰렸고 원 사이드하게 패해 아쉽다. 하지만 T1이라는 강팀을 상대로 그런 상황서도 큰 틀 안에서 최선의 플레이를 했다. 아쉽지만 괜찮았다.오늘 경기를 기준으로 T1은 교전 집중력에서 우리보다 좋았고, 유리해졌을 때 빡빡하게 플레이한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2세트서 상대 실수를 캐치한 뒤 오브젝트를 먹고 빼는 각이 있었는데 '켈린' 김
T1이 초반 유기적인 움직임과 한 타에서의 집중력을 모두 보여줬다. T1은 16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3 LCK 스프링 9주차 디플러스 기아와의 2세트에서 완벽한 집중력을 보이며 승리했다. '페이커' 이상혁과 '오너' 문현준의 미드 - 정글 듀오가 초반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6분 미드에서 이상혁이 르블랑으로 딜 교환에서 우위를 점한 뒤 바텀에 합류했다. 문현준 역시 비에고로 바텀에서 교전을 펼쳤고 결국 T1이 3킬을 따내면서 분위기를 가져왔다. 이상혁과 문현준은 계속해서 상대를 압박해나갔다. T1 역시 조금씩이나마 디플러스에 골드에서 앞섰고 21분에는 탑에서 홀로 라인을 밀던 '쇼메이커' 허수의 탈
이번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스토브리그는 역대급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많은 선수 이동이 있었다. LCK뿐 아니라, 다양한 리그에서 많은 팀들이 로스터 변화를 겪었다. 그중 몇몇 선수들은 데뷔 후 처음으로 본인이 데뷔한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 리그를 경험하게 됐다. 젠지e스포츠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룰러' 박재혁이 대표적이다. 박재혁은 2016년 스타더스트에서 데뷔했고 그해 5월 젠지로 이적하며 올해까지 햇수로 7년 동안 활약했다. 2017년에는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우승을 이루기도 했으며, 올해는 커리어 첫 LCK 우승을 차지하면서 한을 풀기도 했다. 그리고 새로운 도전에 나선 박재혁은 LCK를 떠나 중국 LPL로 향했다. 징동
2022-12-30
올 한해 많은 한국 선수들이 일본 LJL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내년에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올해 LJL에서는 스프링과 서머서 모두 최하위에 머물렀던 V3 e스포츠를 제외하고 나머지 7개 팀이 모두 한국 선수를 보유한 바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내년 시즌에도 LJL팀들의 한국 선수 선호도는 여전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요 팀들이 재계약, 혹은 영입으로 한국 선수들과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먼저 지난 시즌 스프링, 서머를 모두 우승한 데토네이션 포커스 미(DFM)은 '야하롱' 이찬주가 떠난 빈자리를 '아리아' 이가을을 영입하면서 채웠다. DFM은 올해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서 LPL의 로열 네버 기브 업(RNG)을 상대로 다
에드워드 게이밍(EDG)을 떠난 '스카웃' 이예찬이 새로운 팀에서 우승을 노린다. 리닝 게이밍 e스포츠(LNG)는 현재 만만치 않은 상체 조합을 완성한 상황이다. LNG는 29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이예찬 영입을 발표했다. 지난 시즌 팀의 중요한 역할을 해주던 '도인비' 김태상의 빈자리를 이예찬이라는 걸출한 미드라이너로 채운 LNG는 이번 시즌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진출을 다시 한번 노려볼 수 있게 됐다. 이예찬 역시 충분히 다시 LPL 우승을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근거는 잠재력을 갖춘 상체 조합이다. 현재 LNG는 원거리 딜러 포지션을 제외하고 로스터를 완성한 상황이다. 현재까지의 모습을 봤을 때 상체 조합만큼은 LPL에서도 좋
스트리머에서 프로게이머에 도전하게 된 리브 샌드박스 '당무' 전수진이 프로 데뷔 각오를 밝혔다.리브 샌드박스는 29일 전수진의 인터뷰와 선수 선발 과정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 인터뷰에서 전수진은 "중학교 때 다이아 티어를 찍었다"며 "그때 다이어 티어면 잘하는 거라 조금만 하면 프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도 했는데, "학교 다니면서 무슨 프로야" 같은 생각들로 인해 벽이 있는 느낌이었다"고 말했다.그러나 "챌린저를 찍었을 때 벅차올랐다"며 "이후 솔로 랭크에서 프로 선수들 만나서 라인전을 이기다 보니까 '조금만 열심히 하면은 해볼 수 있지 않을까', '도전은 해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전부터 e스포츠에서 에이전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다. 클라이언트(선수)에게 팀을 알아봐 준 뒤 수수료만 챙기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e스포츠 에이전시에 대한 이미지가 바뀌고 있다. 리닝 게이밍(LNG)은 29일 SNS을 통해 '스카웃' 이예찬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2015년 SK텔레콤 T1(현 T1)에 입단한 이예찬은 연습생 시절부터 주목받으며 '페이커' 이상혁의 뒤를 이을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2016년 서머 시즌을 앞두고 에드워드 게이밍(EDG)으로 이적한 이예찬은 입단 첫 해 LPL 서머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과 2021년 LPL 서머서 정상에 오른 이예찬은 지난해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
중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던 '스카웃' 이예찬이 LNG로 이적한다. 리닝 게이밍(LNG)은 29일 SNS을 통해 '스카웃' 이예찬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2015년 SK텔레콤 T1(현 T1)에 입단한 이예찬은 연습생 시절부터 주목받으며 '페이커' 이상혁의 뒤를 이을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2016년 서머 시즌을 앞두고 에드워드 게이밍(EDG)으로 이적한 이예찬은 입단 첫 해 LPL 서머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과 2021년 LPL 서머서 정상에 오른 이예찬은 지난해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22시즌이 끝난 뒤 EDG를 떠난 이예찬은 에이전시 '슈퍼전트'의 도움 속
2022-12-29
중국 동영상 플랫폼이자 차이나 모바일 자회사인 미구(咪咕)가 중국 내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 중계에 대한 독점 권한을 3년간 보유하게 됐다.라이엇 게임즈 차이나는 29일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동영상 플랫폼인 미구가 앞으로 3년간 LPL,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의 중계 라이선스 권한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차이나 모바일 자회사인 미구는 UFC와 함께 최근 카타르에서 열린 월드컵 중계권을 획득한 바 있다. 이제 전통 스포츠에서 e스포츠로 분야를 넓히는 분위기다. 라이엇 게임즈 차이나에 따르면 미구에서는 LoL e스포츠 중계를 세로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준비한다고 한다. 지금까
'기즈모' 김영진 코치가 디알엑스에 합류했다. 디알엑스는 29일 SNS을 통해 '기즈모' 김영진 코치가 1군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LJL 버닝 코어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한 김영진 코치는 bbq 올리버스, e스포츠 커넥티드, 엘리먼트 미스틱을 거쳐 2021년 리브 샌드박스 3군 팀인 GC 부산 샌드박스를 이끌었다. 이후 2군 팀을 거쳐 차기 시즌을 앞두고 디알엑스에 합류해 선수들을 지도하게 됐다. 디알엑스는 '기즈모' 김영진 코치와 함께 챌린저스 팀에 '크러시' 김준서 코치의 합류도 발표했다. 김준서 코치는 2016년 e엠파이어(현 프레딧 브리온)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담원 게이밍(현 담원 기아)의 창단 멤버로 활동했다 이후 샌
'순당무'라는 아이디로 리그 오브 레전드 인터넷 방송을 진행했던 '당무' 전수진이 리브 샌드박스 유스팀에 합류했다. 리브 샌드박스는 29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전수진의 팀 합류를 발표했다. 리브 샌드박스는 "'당무' 전수진이 리브 샌드박스 유스팀에 합류하게 됐다"며 "오랫동안 꿈꿔왔던 꿈에 도전하는 전수진에게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린다"는 말로 팀의 합류를 환영했다. 전수진은 리그 오브 레전드 스트리머로 친오빠인 '과로사' 전재환과 함께 큰 인기를 누린 바 있다. 또한, 아마추어 시절부터 레이디스 배틀, 자낳대 등 여러 대회에 참가하며 실력을 뽐내기도 했다. 이뿐 아니라 솔로 랭크 챌린저 티어를 찍으며 여성 스트리머 중
올해 스프링 시즌을 젠지e스포츠에서 보냈던 백진성이 튀르키예 리그인 TCL에서 2023년 시즌을 시작한다. NASR e스포츠는 29일(한국 시각) 공식 SNS 계정을 통해 2023년 로스터를 발표했다. 이 로스터에는 백진성이 포함됐다. 또한, 올해 썬더 토크 게이밍의 서브 서포터로 활동했던 '패치' 한승민도 내년 시즌 백진성과 함께 NASR에서 뛰게 됐다. 백진성은 2021년 젠지 챌린저스 팀 소속으로 본격적인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년간 LCK CL에서 경험을 쌓은 백진성은 이듬해 LCK서도 데뷔했다. 코로나로 자리를 비운 '룰러' 박재혁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주 포지션인 미드라이너가 아닌 원거리 딜러로 LCK 데뷔전을 치른 백진성은 AP 챔피언을
T1이 2022년 리그 오브 레전드(LoL) 대회 시청 시간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e스포츠 차트에 따르면 T1은 2022년 LoL 대회 시청 시간이 1억 1,290시간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평균 시청자는 67만 5천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27.5% 증가했다. 최고 시청자 수는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디알엑스와의 결승전으로 514만 명이다. T1은 지난해에 비해 2계단 상승했으며 시청 시간은 53% 늘어났다고 한다. e스포츠 차트는 "T1의 인상적인 성적은 인기뿐만 아니라 LCK 인기 물론 LoL 국제 대회 시청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소년 만화 스토리를 쓴 디알엑스는 6,900시간으로 RRQ 호시(모바일 레전드 : 뱅
2022-12-28
비리비리 게이밍(BLG)이 2022 데마시아컵서 우승을 차지했다. BLG는 27일 중국 상하이 홍차오 특설무대서 벌어진 2022 데마시아컵 결승전서 썬더 토크 게이밍(TT)을 3대2로 제압하고 정상에 등극했다. 지난 2018년 서머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BLG는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상금은 50만 위안(한화 약 9,100만원)대부분 팀이 유망주를 출전시킨 데 비해 BLG는 '빈' 천쩌빈, 인빅터스 게이밍(IG) 출신인 정글러 '순' 펑리쉰, 지난해까지 징동 게이밍(JDG)서 활동했던 '야가오' 쩡치, 울트라 프라임 출신 '엘크' 자오자하오, '온' 러원쥔 1군 주전 멤버를 출전시켰다. 행운도 뒤따랐다. BLG는 스테이지2서 TT에게 1대2로 패해 탈락했지만 스테
차기 시즌을 앞두고 이블 지니어스(EG)에서 플라이퀘스트로 이적한 '임팩트' 정언영은 2012년부터 프로게이머를 시작한 최고참 선수 중 한 명이다. 제닉스 스톰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한 정언영은 SK텔레콤 T1(현 T1)으로 이적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2014년 LCK의 전신인 LoL 챔피언쉽 윈터서는 처음으로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2015년 북미로 진출한 정언영은 NRG e스포츠, 클라우드 나인, 팀 리퀴드, EG에서 활동했다. 오랜 시간 활동한 만큼 다양한 기록을 갖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월즈, 롤드컵)은 7번 출전해 역대 2위에 올라있으며 북미 LCS서는 5번 우승을 차지하며 4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 2년 동안 EG에서 활동했던 정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우승을 차지한 디알엑스는 많은 이에게 감동을 줬다. 2022 LCK 서머서 9승 9패를 기록하며 6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디알엑스는 리브 샌드박스에 1대3으로 패해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롤드컵 선발전으로 내려간 디알엑스는 모든 이의 예상을 깨고 kt 롤스터와 리브 샌박을 3대2로 제압하고 4번 시드로 롤드컵에 진출했다. 멕시코에서 열린 롤드컵 플레이-인서 디알엑스는 로얄 네버 기브 업(RNG)을 잡아내는 등 전승으로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디알엑스는 첫 경기서 로그(현 KOI)에게 패했지만 TES를 잡아냈다. 4승 2패를 기록하며 8강전에 진출한 디알엑스는 에드워드 게이밍(EDG)에 역스
2022-12-27
원더페스티벌 2025 코리아 성황리 개최
'페이커' 세팅
1
e스포츠 국가대항전, 내년 11월 사우디서 개최
2
10주년 맞은 ASL, 시즌20 18일 개막
3
VCT 퍼시픽 승격전 나설 팀 뽑는 '로드 투 어센션' 결승, 9월6일 부산 개최
4
T1 김정균 감독, "3,000 어시스트 '오너', 앞으로 많은 기록 세우길"
5
kt, 통신사 전 9연패 탈출...PO 진출
6
T1, 농심에 2대1 승...농심 11연패 수렁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