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국제 대회에서 보여준 성적은 그리 좋지 않다. 리그 오브 레전드 최고의 축제인 월드 챔피언십에서 1회 대회를 제외하면 8강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다. 2015년에 생긴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이하 MSI)에서도 1승4패로 부진하면서 4강 안에 들지도 못했다. 그나마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2015년에 우승, 2016년에 4강에 올라가면서 자존심을 세웠다.
TSM이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이유는 아시아권 팀들에게 유독 약했기 때문이다. TSM의 최근 2년간 국제 대회 성적을 보면 아시아 팀을 극복한 대회에서는 우승까지 해냈지만 그렇지 못한 대회에서는 조기 탈락의 수모를 겪어야 했다(표 참조).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한 것에 만족할 수 없는 TSM에게 또 하나의 악재가 다가왔다. 6개 팀이 올라온 MSI 그룹 스테이지에서 무려 4개 팀이 아시아권 팀이라는 사실이다. 이번 MSI는 한국 대표 SK텔레콤 T1을 비롯해, 중국 대표 월드 엘리트가 국제 대회 상위권 성적을 유지한 덕분에 시드를 배정 받아 그룹 스테이지에 올라왔다. 또 플레이-인스테이지 2라운드에서 슈퍼 매시브 e스포츠를 3대0으로 무너뜨린 LMS 대표 플래시 울브즈와 3라운드에서 승리한 기가바이트 마린즈 등 총 4개 팀이 아시아 지역 대표다. 과거 성적만 놓고 보면 TSM은 아시아 팀들을 넘지 못하면서 4강에도 들기가 어렵다.
그렇지만 TSM이 아시아 공포증을 넘어설 수 있다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수도 있다. 2016년에 열린 MSI에서 북미 대표 카운터 로직 게이밍이 결승에 올랐던 것처럼 드라마를 만들어낸다면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TSM의 톱 라이너인 'Hauntzer' 케빈 야르넬의 분발이 필요하다. 야르넬은 북미 결승전에서 클라우드 나인의 한국인 톱 라이너 2명을 상대로 승리한 경험을 갖고 있고 기가바이트 마린즈와의 플레이-인스테이지 2라운드에서 리버스 스윕을 달성할 때에도 MVP급 활약을 펼친 바 있다. 아시아 팀들이 솔로 라인에서 강력한 개인기를 바탕으로 격차를 벌리는 스타일이기에 야르넬이 버텨 줘야만 TSM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