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ad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 830억 원 돌파…1년 새 15% 증가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 830억 원 돌파…1년 새 15% 증가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가 2016년 기준 830억 3,0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7일 발간한 '2017년 e스포츠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e스포츠 산업 규모는 전년 대비 14.9% 증가한 약 830억 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e스포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14.9%로 나타났다.

국내 e스포츠 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방송이었다. 방송은 전체 44.8%에 해당하는 총 372억 3,000만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 외에도 ▲구단 예산(212억 7,000만 원) ▲스트리밍 및 포털 분야(136억 4,000만 원) ▲온·오프라인 매체(62억 9,000만 원) ▲상금규모(46억 원) 등이 시장을 형성했다.
산업규모와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산출한 국내 e스포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2016년 기준으로 ▲생산유발효과 1,637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633억 원 ▲취업유발효과 10,173명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유발효과는 2015년도 1,413억 원에서 15.9% 상승했으며, 방송·스트리밍과 포털의 생산유발효과도 크게 증가했다.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5년 544억 원 대비 14.1% 상승했다.

광고 효과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폰서 시장 규모는 약 212억 원으로, 축구와 야구에 이은 3위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한편, e스포츠 프로 선수의 연봉은 2017년 평균 9,77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6,406만 원에서 52.5% 늘어난 수치로, 해외진출 후 복귀한 선수들과 기존 스타급 선수들을 중심으로 억대 연봉자가 다수 배출되면서 평균 연봉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외 e스포츠의 현황과 시장 규모가 수록된 <2017년 e스포츠 실태조사 보고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www.kocca.kr)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윤지 기자 (ingji@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8승 0패 +31(36-5)
2한화생명 14승 4패 +20(31-11)
3T1 11승 7패 +8(25-17)
4농심 10승 8패 +3(24-21)
5KT 10승 8패 +2(23-21)
6DK 10승 8패 +2(24-22)
7BNK 6승 12패 -12(17-29)
8OK저축은행 5승 13패 -13(17-30)
9DRX 5승 13패 -14(14-28)
10DNF 1승 17패 -27(8-35)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