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베테랑 영입'에 힘쓴 LoL 중하위권팀들, 반등할 수 있을까

'베테랑 영입'에 힘쓴 LoL 중하위권팀들, 반등할 수 있을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롤챔스) 2018 시즌을 앞두고 벌어진 스토브 리그는 아래부터 뜨겁게 끓어 올랐다. 이전 시즌 상위권을 차지한 롱주 게이밍, KSV e스포츠(전 삼성 갤럭시), kt 롤스터, SK텔레콤 T1이 내실을 다질 때, 중하위권 팀들이 적극적인 영입으로 반등을 꾀한 것이다.

성적이 좋은 팀은 로스터를 유지하고, 아쉬운 팀이 전력을 보강하는 상황이야 숱하게 봐왔지만 이번 시즌은 경험 부족에 발목을 잡혔던 팀들이 분기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선수 영입으로 전력의 '경험치'를 높여 '레벨 업' 하겠다는 의도다.
bbq 올리버스에 입단한 '트릭' 김강윤(왼쪽)과 '이그나' 이동근.
bbq 올리버스에 입단한 '트릭' 김강윤(왼쪽)과 '이그나' 이동근.

스토브 리그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팀은 승강전에서 살아 돌아온 bbq 올리버스다. 정글러 '블레스' 최현웅, 서포터 '토토로' 은종섭과 결별한 bbq는 유럽에서 상당한 경험을 쌓은 '트릭' 김강윤, '이그나' 이동근으로 빈 자리를 메웠다. 단순히 메우는 것을 넘어 전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영입이었다.
김강윤은 유럽 G2 e스포츠에서 활동하며 유럽 LoL 챔피언십 시리즈(이하 LCS)를 네 번 연속 제패했다. '유럽 최고의 정글러'라고 불린 김강윤은 팀을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에 진출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

이동근은 유럽 리그는 물론 국제 리그에서도 제 실력을 톡톡히 발휘했다. 특히 롤드컵 2017에서 '불타는 향로' 메타를 받아 치는 쓰레쉬, 레오나, 블리츠크랭크 활용으로 눈길을 끌었고 미스피츠는 16강을 넘어 8강에 진출했으며 SK텔레콤 T1과 최종 세트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다. 이동근은 롤드컵을 빛낸 서포터 중 한 명으로 꼽혔고 여세를 몰아 올스타전에 합류하기도 했다.

김강윤과 이동근은 부족한 판단력과 결단력으로 흔들렸던 bbq의 중후반 운영을 꽉 잡아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승리보다 패배에 익숙한 bbq의 정신에 힘을 불어 넣어주리란 전망이 가능하다. 게임 내외적으로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원이다.
진에어 그린윙스에 입단한 '레이스' 권지민.
진에어 그린윙스에 입단한 '레이스' 권지민.

진에어 그린윙스와 락스 타이거즈도 경험 많은 선수를 영입하는데 힘썼다. 우선 진에어는 주전으로 활동했던 대다수의 선수들과 결별하며 큰 전력 누수를 겪었다. 톱 라이너 '소환' 김준영을 주전으로 세우고, 미드 라이너 '야하롱' 이찬주를 영입했으나 무게감이 줄어드는 듯했다.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올 즈음 진에어는 삼성 갤럭시 소속으로 활동했던 '레이스' 권지민이라는 추를 더했다.

권지민은 진에어 그린윙스의 창단 멤버였다.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에서 활동했던 권지민은 이후 SK텔레콤 T1 K, 삼성 갤럭시를 거치며 성장했다. 삼성 갤럭시에서 선발로 출전할 때마다 레오나, 케일, 럭스 등 독특한 챔피언을 꺼내 눈길을 끌었다.

진에어의 강점은 바텀 듀오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테디' 박진성을 앞세운 바텀 듀오는 강한 라인전과 교전 능력을 선보였다. 전력이 누수된 상황에서도 진에어는 박진성을 잔류시키고, 권지민을 영입해 바텀 듀오의 힘을 유지했다. 하단에서 일을 만들어 내겠다는 의도로 풀이할 수 있다.
락스 타이거즈에 합류한 '쿠잔' 이성혁.
락스 타이거즈에 합류한 '쿠잔' 이성혁.

락스 타이거즈 또한 비슷하다. 롤챔스 2017 서머 2라운드를 앞두고 미드 라이너 '미키' 손영민과 결별한 락스는 '라바' 김태훈과 '크로우' 김선규를 영입했다. 하지만 신예 선수들의 한계는 분명했다. 김태훈은 롤챔스 2017 서머 정규 시즌에서 KDA 2.71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 bbq전에 한 차례 출전했던 김선규도 2킬 3데스로 물러났다.
허리가 흔들리자 원거리 딜러 '상윤' 권상윤, 서포터 '키' 김한기로 구성된 락스의 바텀 듀오 또한 힘을 내지 못했다. 결국 락스는 강점을 살리지 못한 채 7위로 서머 시즌을 마무리했다.

서머 시즌을 통해 락스는 허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얻었다. 그리고 진에어 그린윙스에서 활동했던 '쿠잔' 이성혁을 영입하며 배움을 실천했다. 이성혁은 진에어 소속으로 3년 간 활동했으며, 가장 최근 치른 롤챔스 2017 서머에서 KDA 3.65로 활약했다. 챔피언 폭도 넓은만큼 락스의 단점을 메우고, 강점을 살리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제파' 이재민 코치(왼쪽)과 '코멧' 임혜성 코치.
'제파' 이재민 코치(왼쪽)과 '코멧' 임혜성 코치.

선수 영입보다 코치진 영입에 힘을 쓴 게임단도 있다. 아프리카 프릭스는 '마린' 장경환의 빈 자리를 루키로 꼽히는 '기인' 김기인으로 메웠는데, 여기에 두 명의 코치를 영입해 전력을 보강했다. 콩두 몬스터에서 활동했던 '제파' 이재민 코치를 받아 들였고, 진에어에서 경험을 쌓은 '코멧' 임혜성 코치를 흡수했다.

이재민 코치는 콩두를 롤챔스 2018 스프링에 승격시키는데 일조했고, 임혜성 코치 또한 특유의 지도력으로 진에어 선수단을 포용했다. 두 코치의 합류로 아프리카는 팀워크와 전략,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콩두에 합류한 천정희 코치.
콩두에 합류한 천정희 코치.

이재민 코치와 결별한 콩두도 스토브 리그에서 빠지지 않았다. '시크릿' 박기선의 영입 효과를 본 콩두는 진에어 출신 '레이즈' 오지환을 영입해 정글러 포지션을 보강했다. 또한 진에어와 중국 2부 리그 팀 영 글로리에서 활동한 천정희 코치를 받아들였다. 새로운 스타일의 콩두를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2017년에 중하위권을 기록했던 팀들은 순위 반등을 위해 스토브 리그에 적극적으로 뛰어 들었다. 그리고 저마다의 목표를 가지고 필요한 퍼즐을 맞췄다. 이들은 '4강 체제'로 굳어진 롤챔스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을까. 한층 더 치열해진 2018 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윤지 기자 (ingji@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8승 0패 +31(36-5)
2한화생명 14승 4패 +20(31-11)
3T1 11승 7패 +8(25-17)
4농심 10승 8패 +3(24-21)
5KT 10승 8패 +2(23-21)
6DK 10승 8패 +2(24-22)
7BNK 6승 12패 -12(17-29)
8OK저축은행 5승 13패 -13(17-30)
9DRX 5승 13패 -14(14-28)
10DNF 1승 17패 -27(8-35)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