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Over Powered)로 분류되던 챔피언, 룬이 대거 하향됐고 서포터 아이템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졌다.
라이엇 게임즈는 24일 말자하, 카직스, 이즈리얼 등 몇몇 챔피언들과 일부 핵심 룬들을 하향한 8.2 패치를 진행했다. 또한 이번 패치에서 서포터 아이템들이 서포터 역할군에 집중될 수 있도록 변경됐다.
◆대회도 흔드는 'OP 챔피언' 너프!
대회 및 솔로 랭크에서 좋은 성적을 냈던 챔피언들이 대거 하향됐다. 말자하는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롤챔스) 2018 스프링에서 라이즈, 아지르와 함께 '미드 3대장'으로 군림하고 있다. 무엇보다 말자하는 강력한 군중 제어기 연계로 상대를 한방에 보내버리곤 했는데 8.2 패치에선 이 부분을 집중 하향했다.
말자하의 Q스킬 '공허의 부름'의 주문력 계수가 80%->65%로 낮아졌다. 핵심은 궁극기 '황천의 손아귀'다. 재사용 대기 시간이 스킬 레벨 당 120/100/80초->140/110/80초로 증가해 초중반 위력이 급감되었다.
톱 라이너와 서포터로 두루 활용되고 있는 오른도 하향됐다. W스킬 '불꽃 풀무질'을 사용할 때 더이상 저지 불가 상태가 되지 않아 제압 당하기 쉬워졌다. 더욱이 이니시에이팅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던 궁극기 '대장장이 신의 부름'의 재사용 대기 시간이 스킬 레벨 당 130/100/70초에서 140/120/100초로 증가해 후반에 조금 더 신중한 판단이 요해진다.
초반 라인전 열세를 '고대유물 방패'로 극복하며 인기를 모은 베인과 이즈리얼도 하향을 피해가지 못했다. 베인은 기본 공격 속도 증가량이 4%->3.3%로 감소했으며 궁극기 '결전의 시간'의 추가 공격력이 스킬 레벨 당 30/50/70->20/30/40으로 대폭 줄었다. 이전보다 후반 파괴력이 약해질 것이란 전망.
이즈리얼은 핵심 공격기인 Q스킬 '신비한 화살'이 하향됐는데 기본 피해량이 스킬 레벨 당 35/55/75/95/115->15/40/65/90/115로 깎였다. 초반 피해량이 집중적으로 하향됐는데, 라인전 단계에 위험 부담을 심어주기 위한 판단으로 보인다.
두 챔피언이 하향되는 사이 징크스가 두각을 드러냈다. 기본 공격력은 66에서 61로 깎였으나 공격력 증가량이 2.42->2.7로 증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기본 지속효과 '신난다!'가 발동중일 때 징크스의 공격 속도가 한도를 초과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번 힘을 받았을 때 상대를 모조리 쓸어 버릴 수 있는 힘을 얻었다. Q스킬 '휘릭휘릭!'의 미니건 공격 속도도 스킬 레벨 당 30/40/50/60/70->30/55/80/105/130%로 대폭 증가해 기대감을 부풀렸다.
정글러 챔피언 중에선 카직스가 먼저 하향됐다. 기본 지속 효과 '보이지 않는 위협'의 추가 공격력 계수가 40%->20%로 줄었다. 다만 Q스킬 공포 감지의 추가 공격력 계수는 증가했다. 카직스 자체를 하향하기 보단 고립된 상대를 노리는 특징적인 플레이를 강조하기 위한 변경으로 보인다.
◆룬 너프도 확인 필요!
다양한 핵심 룬들이 하향됐다. '결의' 빌드에선 '여진'과 '착취의 손아귀', '수호자'가 칼질 당했다. 여진은 근거리 공격 서포터들에게 상당한 파괴력을 안겨주던 룬이었다. 이에 기본 피해량과 체력에 따른 피해량을 감소시켰다. 다만 탱커 챔피언들이 기용할 수 있도록 고정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을 20에서 레벨 당 70~120으로 변경해 내구력을 높였다.
라이엇 게임즈는 원거리 공격 챔피언들이 '착취의 손아귀'를 활용하지 못하도록 패널티를 줬으나, 나르나 우르곳 등을 염려해 정도를 완화시켰다. 원거리 챔피언의 치유량 및 피해량 감소가 50%->40%로 감소했고 영구적 체력 증가도 2->3으로 높아졌다.
수호자의 초반 재사용 대기 시간이 대폭 증가했다. 하지만 기본 보호막이 60~150에서 70~150으로 증가하고, 보호막 주문력 계수도 5% 상승, 체력 계수 또한 높아지며 효과가 좋아졌다.
'영감' 빌드에서 주목할 점은 도벽의 하향이다. 도벽은 갱플랭크와 블라디미르를 OP로 만들어버린 룬인데, 8.2 패치 이후 아이템 획득 확률이 게임 시작 후 15분까지 대폭 감소하고, 15분 이후에도 줄어들어 위력을 견제했다. 특히 원거리 딜러 챔피언들은 아이템을 얻기 어려워졌다. 또한 아이템 판매 가격이 약 20% 감소해 골드 가치를 줄였다.
'정밀' 빌드에선 승전보, 최후의 일격, 최후의 저항 등이 소폭 하향됐다.
시야 장악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지배' 빌드의 '좀비 와드'도 효과가 감소했다. 지속 시간이 180초에서 레벨에 따라 60~180초로 줄었다. 여전히 자주 쓰이겠지만 이전보다는 덜 까다로울 전망이다.
◆서포터 아이템은 서포터의 것이다!
서포터 아이템이 변경됐다. 최근 서포터 아이템은 서포터 외에도 원거리 딜러, 미드 라이너에게 사랑받았다. '고대유물 방패'의 체력 회복 효과와 골드 획득 능력에 원거리 딜러가 반했고, 미드 라이너들은 '주문도둑의 검'을 활용했다. 이에 라이엇 게임즈는 서포터 아이템이 서포터에게만 집중될 수 있도록 다수 변경했다.
시야석과 3단계 서포터 아이템이 삭제된다. 이제 서포터들은 서포터 아이템 퀘스트를 통해 시야석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야석이 필수 아이템인만큼 퀘스트 완료에 필요한 골드량을 750에서 500으로 줄였다. 2단계까지 업그레이드 한 뒤 퀘스트를 통해 시야석을 얻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