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슨 황 대표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행사에 참석해 "한국이 e스포츠를 만들었다. PC방 문화를 만들었다. 여러분이 없었다면 엔비디아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포스와 함께 AI 혁명이 시작됐고, 전 세계 연구자와 과학자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며 게임과 기술 혁신의 연결고리를 강조했다.
무대에 오른 젠슨 황 대표는 갑자기 '페이커!'를 외치며 관객의 환호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리그오브레전드(LoL)' 현역 선수이자 전설로 평가받는 T1 페이커(이상혁)를 향한 이른바 '기습 숭배'는 한국 커뮤니티에서 밈(meme, 인터넷 유행)으로 통하는 문화다. 젠슨 황 대표의 돌발 행동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인공지능(AI)으로 사업을 넓히는 과정에도 한국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왔다. 엔비디아가 초기부터 AI 슈퍼컴퓨터 사업을 활발히 진행한 시장이며, 최근에는 AI 산업의 필수가 된 HBM(고대역폭 메모리)를 SK하이닉스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젠슨 황의 발언은 이런 사업적 배경은 물론, AI를 핵심 산업으로 지목하고 추진하는 정부의 정책과 삼성을 포함한 기업들과 관계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는 한국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AI 컴퓨팅 기술을 도입한 국가 중 하나로 평가하며,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AI 슈퍼컴퓨터 도입, HBM 공급, 생성형 AI 인프라 구축 등이 주요 협력 축으로 꼽힌다.
젠슨 황 대표는 "한국은 엔비디아 여정 25년의 중심에 있었다"며 "머무는 동안 여러 지도자들과 만나고, 한국의 혁신 문화를 직접 보고 배우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또 "AI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며 향후 AI·게이밍 산업 협력 확대 의지를 드러냈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