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알엑스의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우승을 이끌었던 '쏭' 김상수 감독이 북미 LCS로 컴백한다. 플라이퀘스트는 19일(한국 시각)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김상수 감독의 합류를 공식 발표했다. 올해 디알엑스 '미라클 런'의 주역이었던 김상수 감독은 이번에 플라이퀘스트 지휘봉을 잡으면서 2020년 이후 2년 만에 LCS로 돌아가게 됐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나진 소드 미드라이너로 데뷔한 김상수 감독은 2014년부터 팀의 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락스 타이거즈, 롱주 게이밍에서 코치로 활동한 후 2017년 5월 임모탈스의 코치를 맡으며 LCS에 진출했다. 팀 솔로 미드(TSM)로 팀을 옮긴 2018 스프링에는 처음
2022-12-20
크래프톤이 펍지: 배틀그라운드(PUBG: BATTLEGROUNDS, 이하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신규 프로팀을 모집한다.크래프톤은 신규 프로팀 모집을 통해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를 더욱 활성화하고, 다양한 지원 정책으로 선수들의 안정적인 활동을 보장할 계획이다.신규 프로팀에게는 동아시아 대회인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PUBG WEEKLY SERIES: EAST ASIA)’와 국내 대회인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BATTLEGROUNDS SMASH CUP)’에 참가 기회가 보장된다.크래프톤은 신규 프로팀의 브랜드 홍보도 적극 지원한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홈페이지와 대회 방송, 콘텐츠, 경기장 등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브랜드 홍보를 진행한다.또한 신규 프
LCK를 대표하는 유망주였던 '제카' 김건우, '클로저' 이주현, '카리스' 김홍조가 새로운 도전을 준비한다.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최다 우승 지역에 빛나는 LCK는 그만큼 좋은 선수풀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김건우와 이주현, 김홍조는 지금은 은퇴를 선언하고 스트리머로 활동 중인 '쿼드' 송수형과 함께 'LCK 4대 유망주'로 묶이곤 했다. 그리고 세 명의 선수는 새로운 환경에서 2023년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지난 롤드컵 최고 스타 중 한 명인 김건우는 디알엑스에서 한화생명e스포츠로 팀을 옮겼다. 지난 시즌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던 한화생명은 이번 스토브리그 '태풍의 눈'이었다. 주전 로스터를 모두 새로운 얼굴로 바꿨고, 김건우
전 리브 샌드박스 단장 출신인 정회윤씨가 T1 새로운 단장(General Manager)에 선임됐다. T1은 19일 SNS을 통해 '폴트' 최성훈이 떠나면서 공백이었던 단장직에 리브 샌드박스 단장 출신 정회윤씨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카네기멜론대학교를 나온 정회윤씨는 2019년 4월부터 리브 샌박 단장으로 활동했다. 리브 샌드박스의 게임단의 뼈대를 만든 정회윤씨는 팀 블로그에 팀과 관련 글을 올리는 등 팬들과의 소통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최근 리브 샌드박스를 나온 정회윤씨는 차기 시즌을 앞두고 T1 단장으로 부임하게 됐다. T1 정회윤 단장은 "T1 단장으로 선임돼 영광이며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2022-12-19
거취가 불투명했던 '스카웃' 이예찬이 에드워드 게이밍(EDG)을 떠나 리닝 게이밍(LNG)으로 이적이 유력하다. 이예찬이 LNG로 가기 위해선 최근 계약을 체결한 에이전시인 '슈퍼전트'의 역할이 절실해 보인다. 복수의 중국 e스포츠 관계자는 최근 데일리e스포츠에 '스카웃' 이예찬이 LNG로 이적하는 게 확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5년 SK텔레콤 T1(현 T1)에서 데뷔한 이예찬은 기대주로 평가받았다. 2016년 5월 EDG로 이적한 이예찬은 만 7년 동안 팀의 주전 에이스로 활약했다. 지난해 LPL 서머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는 팀이 우승을 차지하는 데 견인했다. 중국 관계자들이 언급한 '스카웃'의 이적 가능성은 '확정' 수준
2023 LCK 스프링 개막 직전 치러질 시즌 개막 특별전에 참여할 10명의 선수가 확정됐다.이상혁과 김혁규가 16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LCK 아레나에서 1월 10일 화요일 같은 장소서 진행될 시즌 개막 특별전을 앞두고 서로의 팀을 고르는 드래프트 행사를 가졌다. 이번 이벤트 경기는 팀 '페이커'와 팀 '데프트' 구도로 치러질 예정이다. 이날 이상혁과 김혁규는 칼바람 나락에서 1대1 이벤트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요네를 플레이한 이상혁이 김혁규의 야스오를 처치하면서 끝난 1대1 경기를 끝으로 본격적인 드래프트에 돌입했다. 팀의 주장이 스네이크 방식으로 번갈아 가며 팀원을 선정하고, 동일 포지션에 두 명 이상의 선수를 뽑을 수 없으
한화생명e스포츠에서 지난 시즌을 보냈던 '쌈디' 이재훈이 라틴 아메리카 지역 LLA의 에스트럴 e스포츠에 합류했다. 에스트럴은 18일(한국 시각) 공식 SNS 계정을 통해 2023년 로스터를 발표했다. 이재훈은 이 로스터에 이름을 올리며 다음 시즌 LLA 무대에 데뷔하게 됐다. 에스트럴은 지난 서머 시즌 결승서 이수루스에 패하며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진출에 실패했지만,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한 강팀이다. 이재훈은 젠지e스포츠와 쑤닝의 아카데미 팀을 거친 후 2020년 V5에 임대로 합류하며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이듬해 2021년에는 썬더 토크 게이밍으로 이적해 1년을 보낸 뒤 2022년 한화생명으로 팀을 옮겼다. 스프링과 서머를 거치며 한화
에드워드 게이밍(EDG)이 2023년 시즌을 앞두고 2군 미드 라이너 '피셔' 이정태를 콜업했다.EDG는 18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이정태의 콜업 소식을 전했다. 이날 EDG는 이정태 콜업을 비롯해 '바이퍼' 박도현의 빈자리를 채워줄 '리브' 후홍차오의 콜업 역시 발표했다. 이에 더해 탑 라이너 '아러' 후자러, 미드 라이너 '포포' 주쥔란을 영입, '메이코' 텐예와는 재계약을 맺으며 사실상 2023년 로스터를 완성했다. 2020년 T1 루키스에 입단한 이정태는 유망주로 평가받으며 기대를 모았다. 이후 서머 시즌을 앞두고 리브 샌드박스 챌린저스 팀으로 이적해 LCK CL 무대에 데뷔했다. 이정태는 시즌 종료 후 EDG 2군에 공식적으로 합류했으며, 새로
지난 17일 진행됐던 '2022 신한은행 쏠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결승전이 치열한 승부 끝에 리브 샌드박스가 우승을 차지했다.지난 결승전은 3페이즈 6라운드까지 진행됐을 정도로 치열했다. 1페이즈를 광동 프릭스가 승리하며 '장군'을 외쳤고, 2페이즌에서는 리브 샌드박스가 동점을 만들며 '멍군'을 외쳤다.3페이즈에서는 연승으로 '장군멍군'을 만들었다. 박현수가 3연승을 하며 '장군'을 외쳤고, 노준현은 2연승을을 거두며 '멍군'을 펼쳤다. 1페이즈에서는 스피드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던 리브 샌드박스가 패했고, 아이템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던 광동 프릭스가 패하며 예상 밖의 전개를 펼쳤다. 에이스 결정전에서는 박인수와 노
카트라이더 조재윤 디렉터가 향후 카트라이더 리그를 위해 열심히 준비 중이라고 이야기했다.조재윤 디렉터는 17일 경기도 광명시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2022 신한은행 쏠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결승전에 시상자로 참석했다. 조재윤 디렉터의 '카트라이더'는 최근 서비스 종료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진행 중인 카트라이더 리그에 대한 궁금증 역시 커졌던 상황이다. 무대에선 그는 "제가 리그 현장에 와서 인사를 드려서 행복하다"며 "리그 덕분에 행복했고, 명경기 보여준 선수들에게 감사하다"는 말로 우승을 차지한 리브 샌드박스, 준우승에 오른 광동 프릭스 선수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이어서 "많은 분들이 저에 대해
2022-12-17
'유칼' 손우현과 '호야' 윤용호가 2023년 시즌에도 썬더토크 게이밍(TT)에서 활약한다. TT는 16일 공식 SNS를 통해 2023년 시즌 로스터를 발표했다. 이 로스터에는 지난 시즌에도 팀에서 활약한 손우현과 윤용호가 모두 포함됐다. 손우현은 2018년 kt 롤스터에서 LCK 무대를 밟으며 프로에 데뷔했다. 뛰어난 피지컬 등의 장점을 앞세워 활약했고 그해 서머 시즌에 kt의 LCK 첫 우승을 안겼다. 이후 아프리카 프릭스로 이적해 1년을 보냈고, 그리핀을 거친 후 kt로 복귀해 2021년까지 활동하다가 올해 TT로 팀을 옮기며 활약했다. 윤용호는 2020년 그리핀에서 프로 데뷔했다. 이듬해 프레딧 브리온으로 팀을 옮겼고 주전으로 도약하며 많은 출전 경
정글러 유망주 '기드온' 김민성이 LPL의 인빅터스 게이밍(IG)으로 팀을 옮긴다. IG는 16일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김민성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시즌 활약한 '지카' 탕화위, '웨카이' 장웨카이 등과 결별하고 새로운 로스터를 꾸리고 있던 IG는 김민성을 영입하면서 정글 포지션을 보강했다.김민성은 그리핀 리저브팀에 입단하면서 프로게이머 커리어를 시작했다. 팀 해체 후 kt 롤스터로 이적해 2020년 연말 케스파컵에서 첫 프로 데뷔 경기를 치렀다. 이후 kt 챌린저스팀에서 활약하며 유망주로 평가받았고, 2021 LCK 스프링 때 처음 1군에서 경기를 치렀다. 2021 서머에는 '블랭크' 강선구의 서브 정글러로 역할을 다했으며, 올해는 '커
2022-12-16
중국 LPL 무대 최고의 탑 라이너 중 한 명인 '더샤이' 강승록이 웨이보 게이밍(WBG)과 재계약을 맺었다. WBG는 16일 공식 SNS를 통해 강승록과의 재계약 소식을 전했다. 올해 WBG에 입단해 활약한 강승록은 이번 재계약으로 내년에도 WBG에서 활약하게 됐다. 프로 데뷔 전부터 유망주로 이름을 날렸던 강승록은 2017년 인빅터스 게이밍(IG)에 입단하며 본격적인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특유의 공격적인 플레이로 LPL 무대를 평정한 강승록은 2018년에는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서도 맹활약을 펼치며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이후 2021년을 끝으로 IG를 떠났고, 올해부터 WBG에서 경기를 펼쳤다. 한편, 강승록과 재계약을 완료한 WBG는 내년
지난 해 징동 게이밍(JDG)서 활동헀던 '야가오' 쩡치가 비리비리 게이밍(BLG)에 입단했다. BLG는 15일 홈페이지를 통해 '야가오' 쩡치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 2016년 데뷔한 '야가오'는 2부 리그인 모스 세븐 클럽을 거쳐 2017년 징동 게이밍에 합류해 올해까지 활동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이 끝난 뒤 팀을 떠난 '야가오'는 BLG에서 활동하게 됐다. 탑 라이너 '빈' 천쩌빈과 재계약에 성공한 BLG는 인빅터스 게이밍(IG) 출신인 정글러 '쉰' 펑리쉰, WE 유망주 출신으로 올해 울트라 프라임서 뛴 원거리 딜러 '엘크' 자오자하오, 웨이보 게이밍 출신 서포터 '온' 러원쥔로 로스터를 마무리했다.
'카사' 훙하오쉬안이 빅토리 파이브(V5)를 떠나 웨이보 게이밍으로 향한다.웨이보 게이밍은 16일 홈페이지를 통해 '카사'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2014년 마치17서 데뷔한 '카사'는 2015년 플래시 울브즈로 이적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플래시 울브즈의 LMS 4연패에 일조한 '카사'는 팀이 국제 대회서 LCK 팀 킬러를 얻는 데 일조했다. 2016년과 2017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그룹 스테이지서 SK텔레콤 T1(현 T1)을 꺾는 데 힘을 보탰다. 2018년 플래시 울브즈를 떠나 로얄 네버 기브 업(RNG)으로 이적한 '카사'는 MSI와 LPL 서머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TES로 이적한 '카사'는 2020 LPL 서머서 팀이 정상에 오르는 데 일조했다. 2022년
라이엇게임즈가 참여형 발로란트 대회인 '팀 에이스'를 진행한다. '팀 에이스'는 지난 1일부터 시작해 다음 달 15일까지 진행되는 플레이어 참여형 이벤트로 팀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선물을 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자유롭게 팀을 꾸려 e스포츠 대회를 즐길 수 있는 '팀 에이스: 결정전'으로 구성됐다. '팀 에이스: 이벤트'는 '5인 팀플레이' 여부에 따라 '레디어나이트 포인트 20개' 등 다양한 상품을 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다. PC방에서 '5인 팀플레이'를 진행하면 'PC방 1,500 마일리지 쿠폰'이 지급된다는 점도 눈에 띈다. 또한, ▲팀 승리 50회 ▲에이스, 팀 에이스 100회 등 추가 미션 달성 여부에 따라 ▲발로란트 굿즈 패키지 ▲팔씨름
담원 기아로 이적한 '데프트' 김혁규가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을 만났다. 문체부에 따르면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15일 서울 용산구 서계동에 위치한 문체부 서울사무소서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인 '데프트' 김혁규를 만나 격려하고 젊은 프로게이머들이 기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이스포츠 활성화와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김혁규는 올해 11월에 열린 롤드컵 최종 우승의 주역으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이른바 ‘중꺾마’의 주인공이다. 김혁규는 롤드컵 1라운드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후 “패배에도 무너지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우리끼리만 안 무너지면 충
LCK 역대 킬 TOP 10
컴투스 '더 스타라이트' 출시 임박! 당신의 클래스는 무엇?
1
성승헌-정노철-고수진, MBC LCK 결승 중계진 합류
2
'에이밍' 김하람, "T1 페이스 말리지 않는 게 중요"
3
T1, 풀 세트 접전 끝에 DK 꺾고 승자 2R행
4
DK 꺾은 '도란' 최현준, "경기력 더 끌어올려야 한다"
5
FC 최강 가리는 'FC 프로 챔피언스 컵 2025' 개막...젠시티-DK 첫 대결
6
G2 e스포츠-모비스타 코이, 롤드컵 진출 확정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