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3연속 우승' T1 VS '첫 정상' KT… 2025 롤드컵 주인공은?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소환사의컵(이미지=라이엇 제공).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소환사의컵(이미지=라이엇 제공).
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의 우승 리그가 대한민국 LCK로 확정된 가운데 트로피를 들어 올릴 영광의 주인공이 kt 롤스터일지, T1일지 가리는 일만 남았다.

2025 롤드컵 결승전이 오는 9일 중국 청두 동안호 스포츠 파크에서 kt 롤스터와 T1이 맞대결로 열린다. kt 롤스터와 T1 모두 통신 기업들이 운영하는 프로 게임단으로, 두 팀이 롤드컵 결승 무대에서 맞붙는 것은 처음이다.

kt 롤스터(이미지=라이엇 제공).
kt 롤스터(이미지=라이엇 제공).
○ 13년 동안 기다렸던 무대에 서는 kt 롤스터
kt는 2012년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 이후 2015 롤드컵에 첫 발을 내딛었지만 8강에서 고배를 마셨다. '슈퍼팀'을 구성한 kt는 2018년에도 8강에 올라갔지만 인빅터스 게이밍(Invictus Gaming)에게 풀 세트 접전 끝에 패배, 탈락했고 2023년에도 8강에 진출했으나 LPL의 징동 게이밍 1대3으로 패하면서 분루를 삼켰다.

2025년 LCK 플레이오프에서 젠지를 꺾는 이변을 만들어내며 롤드컵을 확정한 kt는 스위스 스테이지를 3전 전승으로 통과했고 8강에서도 CTBC 플라잉 오이스터를 셧아웃시키면서 10년 동안 따라다녔던 월드 챔피언십 8강 징크스를 떨쳐냈다. 4강에서 글로벌 파워랭킹 1위이자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던 젠지를 만난 kt는 불리한 상황에 처했던 1세트를 뒤집더니 3세트와 4세트에서는 젠지에게 숨 쉴 틈을 주지 않으면서 승리했다.

13년 만에 월드 챔피언십 결승 무대에 오른 kt가 이번에 우승한다면 모든 수식어에 '첫'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팀을 창단한 이후 처음으로 세계 정상에 오르는 것은 물론, 소속 선수들도 모두 처음으로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린다. 사령탑을 맡고 있는 '스코어' 고동빈 감독 또한 선수와 지도자 경력을 통틀어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얻는다.

T1(이미지=라이엇 제공).
T1(이미지=라이엇 제공).
○ 8번째 결승에서 6회-3연속 우승 노리는 T1

T1은 이번 롤드컵에서 가장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팀이지만 끝까지 살아 남으면서 우승 기회를 만들었다. T1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LPL 4번 시드 인빅터스 게이밍을 3대1로 꺾은 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1승 이후 2연패를 당하며 탈락 위기에 처했다. 2주 차에서 100 씨브즈와 모비스타 코이를 연파하면서 8강행 막차를 탄 T1은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LPL 2번 시드인 애니원즈 레전드를 풀 세트 접전 끝에 물리쳤다. 4강에서도 LPL 탑 e스포츠를 셧아웃시킨 T1은 결승에 올랐다.

T1은 지금까지 10번 출전한 월드 챔피언십에서 모두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뒀고 이번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이 8번째다. 2013년 첫 우승을 차지했던 T1은 2015년과 2016년을 연달아 우승했고 2017년에도 결승까지 올라갔지만 아쉽게도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2년 DRX에게 패하면서 준우승한 T1은 2023년과 2024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2025년 또 다시 정상에 도전한다.

이번 결승전에서 T1이 승리할 경우 T1은 유례 없는 롤드컵 3회 연속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세운다. T1의 미드 라이너 '페이커' 이상혁은 이 과정을 모두 함께 한 선수로 기록되며 '오너' 문현준, '구마유시' 이민형, '케리아' 류민석 또한 이상혁과 함께 3연속 우승을 함께 한다. 올해 영입된 '도란' 최현준은 월드 챔피언십 첫 번째 우승을 달성한다.
○ 분위기는 kt 롤스터…상대 전적은 T1 우위

kt와 T1의 상대 전적에서는 T1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kt의 사기가 충천한 상황이기에 우승팀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

T1은 2020년 이후 공식전에서 kt와 32번 만나 26승 6패를 기록했다. 2023년 LCK 서머에서 두 번 연속 패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두 번 연속 승리하면서 우위를 점하기 시작한 T1은 2024년 서머부터 2025년 4라운드까지 8연승을 이어가기도 했다. T1은 kt 롤스터와의 5전 3선승제 대결을 6번 펼쳤고 모두 승리했으며 피어리스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된 LCK MSI 대표 선발전에서도 3대1로 승리한 바 있다.

kt는 이미 상대 전적을 무시해도 될 정도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번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한 팀 가운데 kt는 가장 적은 경기를 소화하면서도 가장 높은 승률(세트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3전 전승을 기록하면서 네 세트를 모두 승리했고 8강을 3대0, 4강을 3대1로 승리한 kt 롤스터는 세트 승률 90.9%를 달성했다.

박운성 기자 (photo@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28승 1패 +47(57-10)
2한화생명 20승 10패 +22(46-24)
3T1 20승 10패 +19(45-26)
4KT 14승 16패 -6(32-38)
5농심 10승 20패 -19(26-45)
6DK 19승 11패 +12(43-31)
7BNK 14승 16패 -5(35-40)
8OK저축은행 11승 19패 -14(32-46)
9DRX 9승 21패 -18(29-47)
10DNF 4승 26패 -39(17-56)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