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CK컵은 정규 시즌에 참가하는 10개 팀의 전력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대회로, 그룹 대항전과 플레이-인, 플레이오프 순서로 진행된다. 그룹 대항전에서 10개 팀은 장로 그룹과 바론 그룹으로 편성돼 상대 그룹과 대결을 펼치고 승리 시 1점의 포인트를 얻으며 그룹 성적에 따라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에 배치된다.
대회 방식의 큰 흐름에 변화는 없지만 2026년에는 LCK컵 3주 차에 상대 그룹의 같은 순번으로 지목된 팀과 맞대결을 펼치는 '슈퍼 위크(Super Week)'를 편성했다.
2026년 LCK컵의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 등 포스트 시즌 운영 방식도 소폭 변경된다. 지난해에는 승자 그룹의 1위부터 3위까지가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지만 2026년에는 승자 그룹의 1위와 2위, 패자 그룹의 1위가 플레이오프에 직행한다.
이에 따라 플레이-인에 출전하는 팀들의 기준도 바뀌었다. 2026년에는 승자 그룹의 3~5위, 패자 그룹의 2~4위가 플레이-인에서 경쟁을 벌인다.
포스트 시즌 동안 상대를 지목하는 방식도 바뀌었다. 기존에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 1시드 팀이 상대를 지목했지만 2026년에는 플레이-인 2라운드 1시드 팀과 플레이오프 1라운드 3시드, 플레이오프 2라운드 1시드팀에게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플레이오프의 경우 2025년에는 2라운드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 적용되며 총 8경기가 진행됐지만 2026년에는 1라운드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적용함으로써 총 10경기로 늘어났다.
김용우 기자 (kenzi@dailyesport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