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2016 시즌에 뛰고 있는 멤버들 중에는 챔피언스 결승에도 올라가보지 못한 선수들이 있다. 공교롭게도 그 선수들의 보직은 모두 정글러다. 락스 타이거즈의 정글러 '피넛' 윤왕호는 나진 e엠파이어에서 데뷔했고 2016년 락스로 이적했다. 나진도 명문 프로게임단이었지만 윤왕호가 주전 또는 백업 멤버로 뛸 때에는 결승전에 가보지 못했다.
SK텔레콤 T1의 정글러 강선구는 2015 시즌 중국의 2부 리그 팀에서 활동했기에 챔피언스 무대가 생소했다. 1라운드가 끝난 뒤 한국 대표 자격으로 출전한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 결승에 올라간 바 있지만 IEM 결승전과 챔피언스 결승전의 무게감은 챔피언스 쪽이 훨씬 크다. 마치 한국 양궁 선수들이 국제 대회보다 대표 선발전을 더 힘들어하는 것처럼.
2016 시즌 들어 정글러는 승패를 결정하는 포지션으로 위상이 업그레이드됐다. 단순히 라이너들을 지원하는 포지션이 아니라 한 명의 화력 담당으로 자리했고 정글러의 성장에 따라 초반부터 승기가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결승 경험이 없는 윤왕호, 강선구가 당일 결승전 현장에서 어떤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하느냐가 락스 타이거즈, SK텔레콤 T1의 우승 여부를 결정할 공산이 크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