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승리를 낳는 '황금소'는 누구 손에

승리를 낳는 '황금소'는 누구 손에
로열클럽 네버 기브업(이하 RNG)에는 명품 서포터가 있다. 2014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삼성 갤럭시 화이트를 우승으로 이끌었고 최종 MVP까지 수상한 '마타' 조세형이 그 주인공이다.

2015년 중국으로 이적한 조세형은 팀 성적이 좋지 않아 큰 무대에서 볼 수 없었지만 2016년 훌륭한 동료들과 함께 RNG를 이끌었고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우승에 이어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도 팀이 풀리그 1위를 달성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번 대회에서 조세형은 알리스타, 브라움, 쓰레쉬, 탐 켄치, 바드를 사용했다. 이 중에서 가장 돋보였던 챔피언은 3전 전승의 알리스타였다. 개막전에서 알리스타를 선택한 조세형은 카운터 로직 게이밍 선수들 중에 화력 담당이 튀어 나올 때마다 점멸과 분쇄를 쓰면서 돌진했고 아군의 진영으로 쳐내기까지 성공하는 등 슈퍼 플레이를 연발했다. 서로 킬을 주고 받으며 팽팽한 양상으로 진행됐던 경기는 조세형의 알리스타가 땅을 울릴 때마다 RNG 쪽으로 기울었다.
SK텔레콤과의 1라운드 대결에서도 알리스타는 빛을 발했다. 점멸이 돌아올 때면 치고 나가 땅을 울리면서 공중에 띄워 동료들이 암살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만들었고 SK텔레콤 선수들이 원거리 딜러를 노릴 때면 옆에 철썩같이 붙어 있으면서 대신 맞아주거나 체력을 채웠다.

플래시 울브즈와의 2라운드 대결에서도 조세형은 알리스타를 손에 넣자 펄펄 날았고 대부분의 킬에 관여하면서 7연승 행진을 이어갔다.

조세형의 알리스타 실력이 비범하기 때문에 SK텔레콤에서는 금지 목록에 반드시 넣을 것으로 보인다. 일단 변수를 차단한 뒤 무난한 서포터들의 대결로 끌고 간다면 SK텔레콤에게 상대적인 이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전망에 대해 최병훈 감독은 "RNG 쪽이 오히려 알리스타를 금지할 것"이라 내다봤다. '울프' 이재완 또한 조세형 못지 않게 알리스타를 잘 다루기 때문에 내줬을 경우 부담되긴 마찬가지라는 것. 이재완은 이번 MSI에서 알리스타를 한 번 밖에 쓰지 않았다. 그것도 G2 e스포츠와의 경기였기에 실질적인 검증이 되지는 않았다. 스프링 포스트 시즌에서는 알리스타를 네 번 써서 네 번 모두 승리로 이끈 적이 있기는 하다.

이번 MSI에서 5번 이상 사용된 챔피언 가운데 가장 높은 승률을 기록한 챔패언이 바로 알리스타다. 9번 사용된 알리스타는 8승1패를 기록하면서 승리를 부르는 황금소가 됐다.

조세형이든, 이재완이든 알리스타를 손에 넣는다면 충분히 승리로 이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밴픽을 보는 또 하나의 재미가 생길 전망이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8승 0패 +31(36-5)
2한화생명 14승 4패 +20(31-11)
3T1 11승 7패 +8(25-17)
4농심 10승 8패 +3(24-21)
5KT 10승 8패 +2(23-21)
6DK 10승 8패 +2(24-22)
7BNK 6승 12패 -12(17-29)
8OK저축은행 5승 13패 -13(17-30)
9DRX 5승 13패 -14(14-28)
10DNF 1승 17패 -27(8-35)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