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이상혁과 이지훈을 모두 살리기 위해 여러 방법을 구사했다. 2015년 스프링 시즌 초반에는 세트별로 교체하기도 했고 후반에는 한 명에게 하루의 매치업을 모두 맡기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서머 시즌과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선수들의 당일 컨디션을 점검해 최고의 플레이를 펼칠 수 있는 선수를 기용하면서 출전 기회를 비슷하게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1년 동안 이지훈을 식스맨으로 기용해 본 노하우가 2016 시즌에도 발휘됐다. 이지훈이 중국으로 떠나면서 로스터에 한 명을 더 기용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기자 SK텔레콤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정글러 '블랭크' 강선구를 영입했다.

시즌 초반 강선구는 SK텔레콤의 약점으로 작용했다. 출전하는 경기마다 팀이 패하면서 자신감을 잃은 강선구는 엄청난 질타에 시달려야 했다. 스프링 시즌 1라운드에서 중위권에 머물렀던 SK텔레콤은 IEM 월드 챔피언십에 '벵기' 배성웅이 아닌 강선구만 데리고 갔고 무실 세트 우승을 달성하면서 강선구의 기를 살려줬다. 한국으로 돌아온 뒤 강선구가 안정감을 더해주면서 SK텔레콤은 스프링 시즌을 우승으로 마무리했다.
강선구의 활약은 배성웅에게도 자극제가 됐다. 서머 시즌에 정글러 2명에게 경합을 붙인 SK텔레콤은 배성웅이 공격형 챔피언을 익힐 수 있도록 자극을 주면서 더욱 견고한 플레이를 보여줬다. 비록 kt 롤스터에게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면서 결승에 가지는 못했지만 롤드컵 무대에서도 강선구와 배성웅의 경쟁 구도는 이어졌다.
정글러의 플래툰 시스템은 롤드컵에서 빛을 발했다. 16강에서 강선구가 3승1패, 배성웅이 2승을 거뒀고 8강에서는 배성웅이 선발로 나섰지만 패하자 강선구로 교체하면서 내리 세 세트를 따내며 승리했다.
4강 락스 타이거즈와의 대결에서 강선구가 2, 3세트에 출전했다가 패하자 4세트에 바통을 이어받은 배성웅은 그동안 선보이지 않았던 니달리 플레이를 완벽하게 보여주면서 팀의 분위기를 살려냈고 5세트에서도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삼성과의 결승전에서도 1, 2세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팀을 승리로 이끈 배성웅은 4세트에서 강선구로 교체됐지만 5세트에 다시 등장하면서 팀의 세 번째 우승을 이끌었다.
당일 컨디션에 따라 선수를 기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5전3선승제의 토너먼트에서도 필요한 시점에 적합한 선수들 투입하면서 팀 분위기를 전환하고 상대 팀에게는 밴픽에 혼란을 줄 수도 있다. 비록 한 명을 바꾸는 것 뿐이지만 다양한 효과를 얻어내면서 롤드컵을 제패했기에 SK텔레콤의 식스맨 체제는 전세계 팀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