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이 자리를 나진 e엠파이어에서 톱 라이너로 활동하던 '듀크' 이호성으로 메웠다. 장경환과 비교했을 때 이호성은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다. 2015년 내내 SK텔레콤이 국내외 대회를 싹쓸이했고 이 과정에서 장경환이 필요할 때마다 슈퍼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상단을 지배했기 때문이다.
이호성은 목표 의식이 분명했다. 입단 후 처음 가진 인터뷰에서 이호성은 "우승하기 위해 SK텔레콤 T1을 택했다"고 밝힌 것. kt 롤스터와 나진 e엠파이어에서 선수 생활을 하면서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던 이호성은 최고의 팀에 왔기 때문에 최고의 활약을 펼치면서 커리어를 쌓겠다는 확실한 목표가 있었다.

강선구도 영입 성공 사례다. 2016 시즌을 앞두고 가장 많이 변화한 포지션은 정글러였다. 이전에는 서포터와 함께 10레벨 이후 역할이 미비했지만 2016 시즌 들어 정글러의 경험치가 금세 느는 쪽으로 패치가 됐고 정글러의 성장세가 팀의 승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자 SK텔레콤은 정글러의 강화를 추진했고 중국에서 활동하던 강선구를 데리고 왔다.
중국 팀에서 뛸 때 강선구는 큰 경기 경험이 많지 않았다. 에너지 피스메이커의 하부 팀에서 뛰었고 스타혼 로열클럽에서는 '인섹' 최인석의 대체 선수로 뛴 것이 전부였다.
경험이 부족했지만 강선구의 목표 의식은 뚜렷했다. 세계 최고의 팀에 들어갔다는 부담감이 있지만 연습량으로 극복해낸 강선구는 IEM 월드 챔피언십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다. 국내에서 받은 비판을 모두 떨쳐낼 수 있는 중요한 성과였다.
챔피언스 스프링과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면서 실력을 인정 받았다. 롤드컵 본선 무대에서 4강, 결승에서 부진하긴 했지만 강선구의 영입은 SK텔레콤이 식스맨 체제를 확실하게 갖추면서 2016 시즌에 열린 국내외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내는 발판이 된 것은 틀림 없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