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PGS 부진' 韓, 최상위 리그 PGC서 반등 노린다

광동 프릭스.
광동 프릭스.
2024년 한 해 국제대회 펍지 글로벌 시리즈(PGS)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던 한국팀들이 마지막 대회인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GC)에서 반등을 노린다.

올 한 해 최강의 펍지 e스포츠팀을 가릴 2024 PGC가 한국 시각으로 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다. 총 세 번의 서킷 스테이지를 치른 후 20일부터 22일, 3일간 그랜드 파이널을 소화하는 2주 일정이다. 숨 가쁘게 진행되는 일정 속에서 과연 어떤 팀이 2024년 최강 자리에 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PGC 2024에는 한국팀이 총 3팀 출전한다. 올해 열린 2번의 펍지 위클리 시리즈(PWS)에서 모두 우승하며 국내 최강으로 우뚝 선 광동 프릭스, 7회 연속 PGC 무대를 밟게 된 글로벌 파트너 팀 젠지e스포츠, 다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로 돌아온 T1이 그 주인공이다. 3팀은 올해 한국팀의 국제전 부진을 씻어내야만 한다.
지난해 한국 대표팀의 펍지 네이션스 컵(PNC) 우승과 다나와e스포츠의 PGC 우승으로 세계 최강의 자리를 되찾았던 한국 펍지 e스포츠는 올해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본격적인 시즌 시작 전 PGC와 PNC의 우승 주역들이 흩어졌지만, 그 안에서 경쟁력을 갖춘 스쿼드를 꾸렸다는 평가가 있었다. 하지만 국제대회에서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했다.

젠지.
젠지.
T1.
T1.
여름에 열린 e스포츠 월드컵(EWC)서는 다나와가 3위에 오르며 좋은 성적을 남겼지만, 1년간 4번 열린 PGS에서는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이그잼플' 아르툠 아다킨을 영입하며 PGS 3연패를 달성한 트위스티드 마인즈, PGS 3 챔피언 케르베로스 e스포츠를 위시로 발전한 경기력을 보인 퍼시픽 지역팀 등 세계 강호들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PGS 3서는 3팀이 올라 광동이 7위로 한국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PGS 4서는 젠지만이 유일하게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해 10위에 머물렀다. PGS 5에서는 광동과 젠지가 최종 무대에서 9위와 11위에 오르며 상위권에 진입하지 못했다. PGS 6에서는 마지막 날 반등한 젠지가 4위로 자존심을 지켰으나, 광동과 T1은 10위, 16위에 그쳤다.

그런 만큼, 반드시 PGC에서는 좋은 성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물론 쉽지만은 않다. PGS 포인트 상위 8팀 안에 진입한 팀이 없기에, 광동, 젠지, T1 모두 서킷 스테이지 서킷 1의 라운드 1부터 경기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파이널 진출을 위해서는 3번의 서킷별 마지막 서킷인 파이널 서킷에서의 점수가 필요하다. 한국팀은 1라운드와 2라운드를 거쳐야지만 파이널 서킷에 진출할 수 있다.

이렇듯 앞선 PGS에서의 부진으로 인해 한국의 3팀은 어려운 조건에서 PGC 2024를 치러야 한다. 반드시 성적 반등이 필요한 시점에서 광동, 젠지, T1이 악조건을 뚫고 PGC 2024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강윤식 기자 (skywalker@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7승1패 +32(35-3)
2한화생명 14승4패 +19(30-11)
3디플러스 13승5패 +13(29-16)
4T1 11승7패 +6(25-19)
5KT 9승9패 -2(21-23)
6BNK 8승10패 -7(17-24)
7광동 7승11패 -2(21-23)
8농심 5승13패 -14(13-27)
9DRX 4승14패 -20(10-30)
10OK저축은행 2승16패 -25(8-33)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