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2016년 10대 뉴스] 한국으로 돌아온 LoL 대어들, 롤챔스 달군다③

2016년은 다사다난이라는 말을 써도 조금의 모자람도 없다. 국정 농단이라는 유례 없는 단어가 씌였고 대통령이 국회로부터 탄핵을 당했으며 100만 명 가까운 인파가 매주 토요일 광화문 광장에 모여 촛불을 들어 올리고 있다.

불안정한 시국 속에서도 e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커져 갔다. 종주국인 한국은 여전한 실력을 과시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을 제패했지만 북미와 유럽은 엄청난 투자력을 과시하면서 따라 잡으려 혈안이 됐고 한 풀 꺾이긴 했지만 중국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을 과시하고 있다.

2016년 e스포츠 업계에는 어떤 일이 있었으며 무엇을 시사하고 있는지 데일리e스포츠가 정리했다. < 편집자주 >
)
kt 롤스터의 '폰' 허원석(왼쪽)과 '마타' 조세형(가운데), '데프트' 김혁규.
kt 롤스터의 '폰' 허원석(왼쪽)과 '마타' 조세형(가운데), '데프트' 김혁규.
벌써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롤챔스) 2017 스프링에 대한 기대감을 표하는 시선이 많다. 해외로 진출했던 '대어'들이 대거 한국으로 돌아오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활동한 다수의 선수들이 한국으로의 귀환을 희망했고 덕분에 이적 시장은 뜨거워졌다.

이적 시장에서 가장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 팀은 kt 롤스터였다. kt는 에드워드 게이밍(이하 EDG)에서 뛰었던 '폰' 허원석과 '데프트' 김혁규, 로열 네버 기브 업(이하 RNG)의 '마타' 조세형을 모두 잡는데 성공했다.

EDG에서 2년 가량 활동한 허원석과 김혁규는 중국 LoL 프로 리그에서 두 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데마시아컵을 휩쓸었다. 더욱이 2년 연속 팀을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에 진출시키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RNG의 조세형 또한 특유의 오더와 운영 능력을 앞세워 팀을 든든하게 보좌했다. 세 명의 선수를 잡은 kt는 '스슼폰데마'로 불리는 역대급 라인업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프리카 프릭스의 '마린' 장경환(왼쪽)과 '스피릿' 이다윤.
아프리카 프릭스의 '마린' 장경환(왼쪽)과 '스피릿' 이다윤.
선수단 전원과 계약을 해지한 아프리카 프릭스도 해외에서 돌아온 선수을 유의깊게 지켜봤다. 그리고 중국 LGD 게이밍에서 활동했던 '마린' 장경환을 톱 라이너로 불러들였고, 정글러로는 유럽 프나틱에서 돌아온 '스피릿' 이다윤을 영입했다.

성공적으로 해외 활동을 마무리한 장경환과 이다윤은 과거 한국에서 활동할 당시에도 눈에 띄는 성적을 거뒀다. 장경환은 2015년까지 소속팀 SK텔레콤 T1의 주축을 담당했고 SK텔레콤이 롤드컵 2015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리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다윤 또한 2014년 삼성 블루의 롤챔스 우승과 롤드컵 4강 진출에 일조한 바 있다. 두 선수 모두 국내외 성적이 훌륭했던만큼 높은 기대치를 받고 있다.

SK텔레콤은 '듀크' 이호성의 빈 자리를 북미 임모털스 출신 '후니' 허승훈으로 메웠다. 허승훈은 자신만의 공격적인 성향을 살려 북미 지역에서 인기와 성적,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선수다. 진에어 그린윙스는 유럽팀 로캣에서 활동한 '레이즈' 오지환을 서포터로 선택했다.
해외 경험이라는 무기를 장착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7명의 선수들 덕분에 2017 시즌 롤챔스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이윤지 기자 (ingji@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8승 0패 +31(36-5)
2한화생명 14승 4패 +20(31-11)
3T1 11승 7패 +8(25-17)
4농심 10승 8패 +3(24-21)
5KT 10승 8패 +2(23-21)
6DK 10승 8패 +2(24-22)
7BNK 6승 12패 -12(17-29)
8OK저축은행 5승 13패 -13(17-30)
9DRX 5승 13패 -14(14-28)
10DNF 1승 17패 -27(8-35)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