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8일 2021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1 대회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변화의 중심은 온라인 비대면 시대에 최적화된 즐기는 e스포츠로서의 역량 강화다.
컨텐더스 코리아는 최근 생활 환경이 많은 부분 온라인으로 옮겨짐에 따라 보다 많은 라이브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올 시즌 전 경기 생중계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시즌1~2 기간 중 치러지는 60경기 모두가 오버워치 e스포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된다.
먼저,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10팀이 2개조로 편성,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그룹 내 대결을 펼친다. 그 시작점이 될 조 지명식은 8일 오후 9시 오버워치 e스포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 지명식에는 지난해 우승팀 WGS를 비롯 러너웨이(Runaway), 탈론(Talon), 스타라이트 게이밍(Starlight Gaming, 엘리먼트 미스틱 시드권 양수), O2 블라스트, 팀 BM 외에도 Team CC.KR, TDI(이상 컨텐더스 트라이얼 승격), 젠지(Gen.G), T1(이상 오버워치 리그 아카데미 팀 자격) 등이 참가한다.
조별 상위 4팀은 플레이오프 시드를 결정 짓는 인터리그에 진출한다. 인터리그에서는 각 조별 같은 순위를 기록한 팀간 맞대결을 펼친다. 같은 방식으로 조별 2~4위 팀간 맞대결을 펼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총 7팀의 시드를 가른다. 신설된 규정에 따라 조별 4위 팀간 대결에서의 패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다. 플레이오프에는 승자연전방식이 도입된다. 승자연전은 시드가 가장 낮은 두 팀이 제일 먼저 경기를 갖고, 이후 살아남은 승자가 계속해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다.
2021년 컨텐더스 코리아 총 상금은 한화 약 3억 9천만원(USD 350,000)이다.
매년 2차례 운영해온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도 3월과 6월에 각각 개막, 컨텐더스에서 활약할 예비 스타 플레이어의 등용문으로 그 역할을 이어나간다.
여기에 컨텐더스 트라이얼 진출 자격을 부여하는 두 대회가 신설됐다. 비(非) 컨텐더스 팀 등 누구나 참가 가능한 오픈 테스트와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교를 대표해 참가하는 스쿨 토너먼트가 주인공이다. 각각 1월과 5월 연 2회 치러진다.
박운성 기자 (photo@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