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대회 분산 개최 선택한 ESWC…득일까 실일까

프랑스 안에서의 인기는 여전하지만 국제적인 관심은 줄어들고 있는 ESWC(사진=ESWC.com 발췌).
프랑스 안에서의 인기는 여전하지만 국제적인 관심은 줄어들고 있는 ESWC(사진=ESWC.com 발췌).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일렉트로닉 스포츠 월드컵(ESWC) 2015 대회가 개최됐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동시간대 독일 베를린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5 결승전이 열렸고,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에선 드림핵이 진행됐다. ESWC는 두 대회에 밀려 관심 밖 대상이 됐고, 해외 매체에서도 ESWC 소식을 다루는 곳은 거의 없었다. 한 때 CPL, WCG와 함께 세계 3대 e스포츠 대회로 평가받던 ESWC임을 생각하면 그 위상이 많이 추락한 셈이다.

'e스포츠의 올림픽'을 표방한 WCG를 의식한 듯 'e스포츠의 월드컵'이란 취지를 내세우며 지난 2003년 출범한 ESWC는 시작과 동시에 세계 최고의 e스포츠 대회로 자리 잡았다. 특히 카운터 스트라이크와 워크래프트3에서는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출전하며 대회의 위상도 자연스레 높아졌다. 2006년에는 대회 총 상금이 30만 유로(한화 약 3억 7천만 원)에 달했다.

2009년 유럽발 금융위기로 재정난에 부딪혀 한 차례 문을 닫기도 했던 ESWC는 어렵게 그 명맥을 이어갔다. 하지만 그동안 ESL의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IEM)와 드림핵 등 다른 브랜드가 크게 성장했고, ESWC는 오히려 퇴보했다. 대회 규모와 상금은 점차 줄어들었고, 대세를 따르지 않고 선택한 종목인 저스트 댄스, 트랙매니아, 슛매니아 등은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중계도 e스포츠 팬들 사이에 잘 알려진 트위치TV가 아닌 프랑스의 스트리밍 플랫폼인 데일리모션을 이용하다보니 시청자도 모으지 못했다.
ESWC는 2015년 들어 변화를 택했다. 매년 가을 프랑스에서 한 차례만 개최했던 대회를 드림핵이나 IEM과 같은 방식으로 분산 개최하기 시작한 것이다. 5월에는 콜 오브 듀티 대회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했고, 7월에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CS: GO) 대회를 개최했다.

종목별 분산 개최로 인해 대회에 대한 집중도는 높아졌지만 이로 인해 가을에 열리는 메인 대회는 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캐나다에서 열린 ESWC CS: GO 대회 우승상금은 3만 달러였지만 최근 열린 ESWC 2015에서의 CS: GO 부문 우승상금은 겨우 7,500달러에 불과했다. 때문에 CS: GO의 대표적인 팀들은 모두 드림핵 출전을 택했고, ESWC는 프랑스 지역 팀들만 출전하는 주목받지 못하는 대회가 됐다.

이미 7월에 CS: GO 대회를 크게 개최했어도 메인 대회가 관심 받지 못한다면 얼마 못가 다시 문을 닫아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만약 생존을 위해 가장 인기 많은 종목만 남겨둔다면 ESWC라는 브랜드가 가지는 의미는 상실될 수밖에 없다. 대회 분산 개최 선택이 ESWC에 득이 될지 실이 될지, 향후 행보를 관심 있게 지켜볼 일이다.


이시우 기자(siwoo@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9승 1패 +32(39-7)
2한화생명 15승 5패 +20(33-13)
3T1 13승 7패 +11(29-18)
4KT 11승 9패 +2(25-23)
5농심 10승 10패 -1(24-25)
6DK 11승 9패 +3(27-24)
7OK저축은행 7승 13패 -11(21-32)
8BNK 7승 13패 -12(19-31)
9DRX 6승 14패 -14(17-31)
10DNF 1승 19패 -30(9-39)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