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 가장 많은 상금을 벌어들인 팀은 스웨덴의 프나틱이었으며, 총 85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2위는 프랑스의 엔비어스로 51만 달러 이상의 상금을 획득했다. 3위는 50만 달러를 넘긴 폴란드의 버투스 프로가 차지했다.
CS:GO 리그는 2016년에 더욱 성잘할 전망이다. 북미에서 MLG가 CS:GO 리그 개최를 발표했으며, TBS는 WME/IMG와 손을 잡고 연간 총 상금이 28억 원에 달하는 E리그를 론칭했다.
CS:GO는 밸브에서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관계자들은 도타2의 더 인터내셔널처럼 크라우드 펀딩으로 상금을 마련하는 대회가 머지않은 시일 내에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만약 CS:GO에도 크라우드 펀딩 방식이 도입될 경우 전체 상금규모는 도타2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외 주요 CS:GO 팀들의 2015년 상금 획득 내역은 리퀴피디아 자료를 토대로 조사했으며, 일부 누락분이 있거나 환율에 따라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15년 CS:GO 주요팀 상금 획득 현황
프나틱(스웨덴)=850,597달러(한화 약 10억 7백만 원)
엔비어스(프랑스)=517,737달러(한화 약 6억 9백만 원)
버투스 프로(폴란드)=505,681달러(한화 약 5억 9천 4백만 원)
퀘스천 마크(구 솔로미드, 덴마크)=467,419달러 (한화 약 5억 4천 9백만 원)
나투스 빈체레(유럽)=385,463달러(한화 약 4억 5천 3백만 원)
클라우드 나인(북미)=252,090달러(한화 약 2억 9천 6백만 원)
루미너서티 게이밍(브라질)=158,734달러(한화 약 1억 8천 6백만 원)
리퀴드(북미)=146,200달러(한화 약 1억 7천 2백만 원)
카운터 로직 게이밍(북미)=129,923달러(한화 약 1억 5천 2백만 원)
타이탄(유럽)=113,883달러(한화 약 1억 3천 3백만 원)
디그니타스(덴마크)=111,743달러(한화 약 1억 3천 1백만 원)
마우스스포츠(유럽)=107,687달러(한화 약 1억 2천 6백만 원)
헬레이저(유럽)=78,342달러(한화 약 9천 2백만 원)
이시우 기자(siwoo@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