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유일한 팀 리그인 프로리그에서는 SK텔레콤 T1이 두 번의 라운드 우승과 통합 포스트시즌 우승을 차지해 우승을 독식하다시피 했다.
SK텔레콤 T1의 이신형과 김도우, 진에어 그린윙스의 김유진과 조성주, KT 롤스터 이승현, 마이인새니티 정윤종, CJ 엔투스 김준호, 삼성 갤럭시 강민수는 각 2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중 같은 대회에서 두 번 이상 우승한 선수는 강민수가 유일하다. 강민수는 드림핵에서만 두 차례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한 번에 가장 큰 상금을 차지한 선수는 김유진으로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파이널에서 우승하며 10만 달러(한화 약 1억 1천만 원)를 손에 넣었다.
프랑스의 'Lilbow' 다비드 모스체토는 우승한 유일한 해외선수다.
◆2015 스타크래프트2 주요 대회 우승자/팀
*드림핵 로캣 챔피언십, 홈스토리컵 시즌12는 공허의 유산으로 진행
*소속팀 표기는 우승 당시 소속된 팀
▶프로리그
1라운드: SK텔레콤 T1
2라운드: CJ 엔투스
3라운드: SK텔레콤 T1
통합 포스트시즌: SK텔레콤 T1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시즌1: 최성훈(CM스톰)
시즌2: 신동원(루트 게이밍)
시즌3: 'Lilbow' 다비드 모스체토(밀레니엄)
글로벌 파이널: 김유진(진에어 그린윙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
시즌1: 이승현(KT 롤스터)
시즌2: 정윤종(마이인새니티)
▶스타리그
시즌1: 조성주(진에어 그린윙스)
시즌2: 김도우(SK텔레콤 T1)
시즌3: 김준호(CJ 엔투스)
▶KeSPA컵
시즌1: 김준호(CJ 엔투스)
시즌2: 어윤수(SK텔레콤 T1)
▶ESL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
시즌9 타이페이: 이승현(KT 롤스터)
시즌9 카토비체 월드 챔피언십: 주성욱(KT 롤스터)
시즌10 센젠: 김도우(SK텔레콤 T1)
시즌10 쾰른 게임스컴: 이신형(SK텔레콤 T1)
▶드림핵
투르: 원이삭(요이 플래시 울브즈)
발렌시아: 이원표(스베누)
스톡홀롬: 강민수(삼성 갤럭시)
로캣 챔피언십: 강민수(삼성 갤럭시)
▶홈스토리컵
시즌11: 정윤종(마이인새니티)
시즌12: 문성원(에이서)
▶지피니티 마스터즈
스프링1: 원이삭(요이 플래시 울브즈)
스프링2: 강민수(삼성 갤럭시)
서머1: 현성민(MVP)
서머2: 황규석(프라임)
▶MSI 마스터 게이밍 아레나
김유진(진에어 그린윙스)
▶코펜하겐 게임즈
원이삭(요이 플래시 울브즈)
▶아수스 ROG 서머
황강호(MVP)
이시우 기자(siwoo@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