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e-sports

[롤챔스 1R 결산] '여름의 강자' KT, 봄에도 힘썼다

[롤챔스 1R 결산] '여름의 강자' KT, 봄에도 힘썼다
KT 롤스터는 여름 시즌에 강하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2013년 여름 시즌에 KT 롤스터 불리츠가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4년에는 KT 롤스터 애로우즈가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만든 이후 처음으로 정상에 올랐다. 2015년 단일팀 체제로 전환된 이후에도 KT는 여름 시즌에 결승까지 올라가면서 강력한 면모를 과시했다. 작년에 처음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올라갔던 KT의 2016년 행보는 엄청나게 주목을 받았다. 포인트는 부진했던 스프링 시즌에 과연 강해질 것이냐였다.

KT는 스프링 시즌에 돌입하기 전 미드 라이너와 서포터 포지션에 변화가 일어났다. '나그네' 김상문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팀을 떠났고 '피카부' 이종범이 외국 팀으로 가겠다며 서포터 자리가 비웠다. 미드 라이너로 '플라이' 송용준을 영입한 KT는 서포터로 '하차니' 하승찬과 '이그나' 이동근을 동반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월드 챔피언십에 올라갔던 세 명이 그대로 남아 있으면서 전력을 유지한 KT는 스프링 시즌에 SK텔레콤 T1, 락스 타이거즈와 함께 3강에 오를 것이라 예상됐고 실제로도 2위를 차지하면서 돋보이는 활약을 펼쳤다.
KT는 주전 서포터로 '하차니' 하승찬을 주로 기용했다. 2015년 스프링 시즌까지 함께 했기에 호흡이 잘 맞는다고 판단했고 맞아 떨어졌다. 이동근에게 세 세트 밖에 출전 기회를 내주지 않았던 하승찬은 맷집이 좋은 챔피언들을 주로 사용했다. 트런들 3승, 브라움 3승1패, 알리스타 3승2패, 쉔 2승1패로 단단한 챔피언들로 좋은 성적을 냈던 하승찬은 팀의 맷집 역할을 해냈고 톱 라이너 '썸데이' 김찬호가 유틸리티 능력을 보유한 갱플랭크나 피오라, 라이즈 등을 플레이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다.

KT가 6승3패를 기록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이유는 미드 라이너 '플라이' 송용준이 일찌감치 팀에 녹아 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복귀한 지 1년만에 치른 첫 경기부터 럭스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송용준은 이후 질리언을 자주 꺼내면서 다양한 챔피언을 다루려고 노력했다. 대부분의 미드 라이너들이 빅토르와 리산드라, 룰루, 코르키,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돌려 쓰는 것과 달리 송용준은 질리언을 위시해 아리, 카사딘까지 선택하면서 밴으로 막기 어려운 선수로 입지를 다졌다.

KT는 독특한 시도도 보여줬다. 진에어 그린윙스와의 2세트에서 김찬호가 람머스를 가져가면서 승리했다. 비록 경기는 패했지만 KT가 진부한 픽밴만 하지 않는다는 이미지를 심어줬고 이는 CJ와의 2세트에서도 람머스를 택하면서 변수 만들기를 또 다시 시행했다.

정글러 '스코어' 고동빈과 '애로우' 노동현의 꾸준함은 KT가 올해 스프링 시즌에도 강력할 수 있었던 발판임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공격형 정글러가 대세인 시점에 발 빠르게 적응했던 고동빈은 그레이브즈, 킨드레드 등 원거리 챔피언으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고 노동현은 루시안, 칼리스타, 코르키 등 대세 챔피언을 안정적으로 다루면서 힘을 실었다.

1라운드에서 강팀에게는 약했지만 약한 팀에게는 패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승수를 올린 KT가 2라운드에서는 강팀마저 잡아내면서 봄의 제왕으로 군림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는 이유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
<Copyright ⓒ Dailygame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랭킹

1젠지 19승 0패 +33(38-5)
2한화생명 14승 5패 +18(31-13)
3T1 11승 7패 +8(25-17)
4KT 11승 8패 +4(25-21)
5농심 10승 9패 +1(24-23)
6DK 10승 9패 +1(25-24)
7BNK 7승 12패 -10(19-29)
8OK저축은행 6승 13패 -12(19-31)
9DRX 5승 13패 -14(14-28)
10DNF 1승 18패 -29(8-37)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